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13 지방선거가 한달 앞으로 다가왔지만 울산교육감 선거는 유권자들의 관심이 낮아 '깜깜이 선거'로 치러질 지 모른다는 우려가 높다. 

단체장 선거의 그늘에 가려진데다, 보수·진보진영 후보의 단일화도 변죽만 올리더니 끝내 무산됐다. 교육감 후보는 전국 최다 7명 등록으로 뚜렷한 선두주자가 없고 특별한 이슈를 만들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전임 교육감을 비롯해 역대 교육감들이 수차례 중도 낙마하는 잔혹사 속에 학생 수 감소 등으로 울산교육의 위기감이 고조되다보니, 이번 선거마저 그들만의 리그로 진행되면 지역 미래를 담보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그도 그럴 것이 대부분의 유권자들이 교육감후보의 교육철학이나 교육정책은 커녕 후보가 누군지도 모르는 '줄줄이 투표' '로또 교육감'으로 이어지는 등 부작용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지방선거와 동시 실시하는 교육감 선거가 유권자의 관심을 전혀 받지 못하면서 지방선거와 분리하거나 교육감 선거방식에 대해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강한 것도 이 때문이다. 교육감은 2010년부터 지방선거와 동시에 치르고 있다. 다만 교육의 정치적 중립을 위해 정당공천은 배제됐다. 

교육감은 교육 정책을 결정하고 예산을 집행하는 등 막강한 권한을 갖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교육청 자체 예산과 인사권을 확대하는 등 교육부의 권한을 대거 교육청으로 이양을 추진, 교육감의 권한은 더욱 막강해질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특히 울산교육계는 7대 교육감 중 1대와 4대 김석기 교육감, 5대 김상만 교육감, 6대와 7대 김복만 현 교육감까지 3명이 선거 비리와 뇌물수수 등으로 교육감직을 상실하는 잔혹사로 위상 회복이 절실한 상황. 그런데도 "교육감 선거에 교육의 본질이 없고 선거 기술만 난무한다"는 어느 학부모의 지적은 뼈아프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