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감 바닥으로 인해 발생한 유휴인력 해소에 난항을 거듭해온 현대중공업이 결국 '대규모 무기한 무급 휴직'을 검토하기로 했다. 당장 올 8월부터 현실화되는 해양플랜트 도크 중단에 대비하기 위해 추진해온 '희망퇴직'과 '인력재배치'가 순탄치 않자 추가적인 경영 악화를 막기위해 마지막 카드를 빼든 것이다.<본보 2018년 6월 1일 9면 보도>

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은 8월부터 발생하는 해양플랜트 일감 고갈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무기한 무급 휴직'을 검토하고 있다. 대상은 해양플랜트 현장 유휴인력 1,800명이다. 이는 해양플랜트 직영인력 2,600명 가운데 4월과 5월 사이 진행한 희망퇴직과 현재 진행 중인 인력재배치로도 해소되 않고 있는 인원이다.
 
# 타 부서도 일감 부족 인력 수용 못해
현대중공업은 현재 해양플랜트 직원 가운데 사무직 800명을 대상으로 한 인력 재배치를 추진하고 있다. 중공업 내 조선사업부, 특수선사업부, 플랜트사업부, 엔진사업부, 경영사업부뿐만 아니라 계열사인 현대미포조선, 현대일렉트릭, 현대건설기계 등을 놓고 1·2 지망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동을 희망하지 않을 경우 해양사업부에 잔류 신청을 할 수도 있다.

나머지 1,800명은 현장직으로, 공정이 분리된 현장 근무의 특성상 자유로운 이동이 어려운 만큼 휴직이 불가피하다고 회사 측은 판단하고 있다. 게다가 해양플랜트뿐만 아니라 상선 등도 일감이 넉넉지 않아 타 부서에서 수용할 수 있는 인원에도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현재 인력을 유지하기도 힘든 것이 현실이다.

오는 7월 말 나르스 프로젝트를 완료하면 더 이상의 해양플랜트 일감이 남지 않게되고, 수주를 기약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실제 현대중공업은 업황이 침체기를 겪으면서 2014년 이후 해양플랜트 일감을 단 한 건도 따내지 못하고 있다.
 
# 시행땐 협력업체 계약 해지 불가피
현대중공업은 이에 앞서 지난 4월부터 5월까지 한달간 9,000여 명에 달하는 전체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했지만 600여 명의 신청을 받는데 그쳤다. 때문에 매끄럽게 적정 인력을 운영할 수 있는 마지막 보루는 '대규모 휴직' 밖에 없다고 현대중공업 측은 판단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측은 "경영이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지만 직원들의 입장을 고려해 '해고'를 통한 불편한 인력해소를 강행하지 않겠다는 것이 원칙"이라며 "고용을 유지한 상태에서 일감 바닥에 대응하기 위해 휴직을 고려하고 있다. 다만 해양플랜트 수주가 언제 성사될지 모르니 기한을 못박을 수 없는 형편"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휴직 정책이 진행되면 해양플랜트 사내 협력업체는 계약해지가 불가피해진다. 현재 해양플랜트 사내협력업체 인력은 2,400명에 달한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조선업계는 물량 바닥 이외에도 후판가격 인상과 환율 하락, 유가상승 둔화 등으로 악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대외 환경은 조절할 수 없고 이에 따른 리스크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유휴인력 해소를 통한 인건비 절감은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하주화기자 usjh@ulsanpress.net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