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의 위기가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조선과 자동차, 석유화학 등 주력산업 침체 여파로 31개월째 울산인구의 '탈울산' 행렬이 지속되는 상황이다. 울산시에 따르면 지난 6월말 울산의 내국인 인구는 115만9,594명이다. 지난 5월 116만657명에 비해 1,063명 줄어든 수치다. 인구통계는 주민등록 내국인과 법무부 등록 외국인을 합산해 산출한다. 지난 5월 울산지역 외국인 인구는 1만9,887명으로 내국인 인구와 합치면 118만544명이다. 울산의 총인구는 1997년 광역시 승격당시 101만3,070명에서 2015년 11월말 120만640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다음달인 12월 119만9,717명으로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31개월 연속 내리막길을 걸으며, 2만1,100명이 넘는 인구가 유출됐다. 지역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울산엑소더스' 현상은 브레이크가 없어 보인다. 위험한 신호다. 조선업 등 주력산업의 침체와 고용악화에 따른 '탈울산'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장기간 이어지는 탈울산의 핵심원인은 조선업이 장기 불황에 허덕이면서 근로자들이 울산을 떠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민주노총 울산본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조선업종에서만 3만5,000명 넘게 일자리를 잃었다. 게다가 현대중공업 해양사업부가 창설 35년만에 가동을 중단하고 4,000여명 규모의 구조조정을 추가로 진행하고 있어 울산의 인구감소 현상은 더욱 뚜렷해질 전망이다. 울산 인구의 감소는 조선업 등 주력산업 부진과 지역경기 침체 여파로 제조업 생산과 서비스업 생산, 수출, 소비(소매판매), 투자(건설수주) 가 모두 위축된데 따른 것은 자명하다. 결국 일자리를 찾아 울산을 떠나는 현상이 멈추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설상가상으로 출산율도 가파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울산의 출생아수는 사상 처음 1만 명선 아래로 내려앉으며 전국에서 가장 큰 감소세를 기록했다. 지난해 울산의 출생아 수는 9,400명으로 전년(1만900명)보다 1,500명(13.8%)이나 격감했다. 출생아수가 1만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울산의 출생아수 감소폭은 전국 평균(-11.9%)을 한참 웃돌았고, 16개 시도 중에서도 가장 감소세가 가팔랐다.

울산의 출산율이 이처럼 곤두박질 친 것은 경기불황에 기인한 출산기피, 비혼주의 확산과 결혼을 해도 아이를 늦게 낳는 경향 등이 짙어진데 따른 현상이다. 실제 울산의 출생아수는 지난 2012년 1만2,200명을 기록한 이후 전국적인 저출산 기조에 편입하면서 2013년 1만1,300명까지 하락했지만 2014년 1만1,600명으로 회복한 뒤 2015년 1만1,700명까지 상승했다. 그러나 조선업 부진이 심화된 2016년 1만900명로 하락한 뒤 한해 만에 1만명 지지선이 붕괴된 것이다.

문제는 울산의 경우 출산율 감소도 문제지만 나이를 불문하고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인구유출도 갈수록 심화된다는 사실도 걱정거리다. 실제 경제활동이 왕성하지 않은 10대, 7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인구 순유출이 발생했다. 통계청은 "인구 감소는 울산의 주력산업 부진으로 고용이 불안해지자 상대적으로 경기가 좋은 다른 지역으로 일자리를 구하러 이동하는 경향이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역 상공계에서는 역대 최악의 경기 부진을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문제는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퇴직과 탈울산이 앞으로 인구 감소를 더 부추길 수 있다는 점이다. 울산의 지난 해 말 기준 베이비부머 세대는 전체 인구의 16%인 17만여명으로, 이들의 자녀세대인 '에코세대'를 포함하면 전체 인구의 34.7%를 차지한다. 상당한 비중이다. 이들이 은퇴시기를 맞아 울산을 떠날 경우 인구가 현저히 감소할 것은 자명하다.

이들에 대한 대책은 곧바로 도시안정성과 직결된다. 도시의 고령화는 성장을 멈추고 쇠퇴한다는 의미다. 울산시도 베이비부머 은퇴자 정착을 위한 정주여건 종합대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성과는 아직 없어 보인다. 갈수록 증가하는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은퇴에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베이비부머 세대들은 울산의 산업 성장을 이끈 주역이다. 은퇴자들은 재취업과 전직 등 소득을 유지하는데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울산시는 재취업·전직 지원, 창업 지원, 여성일자리 활성화, 사회공헌활동 지원을 통해 소득절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방안을 찾고 있다. 귀농귀촌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보다 구체적인 지원을 하는 부분도 이 같은 사안을 고려한 조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실질적인 정책이다. 인구는 곧 도시의 자산이자 미래성장의 담보물이다. 인구감소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당장 마련해야 한다. 울산을 살고 싶은 도시, 사람이 모여드는 도시로 만들 새로운 정책이 필요하다. 산업수도로서 승승장구해 오던 시절은 잊어야 한다. 지금 울산은 제조업 위축에 소비 위축이 이어져 불황의 악순환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총체적 문제를 하나씩 점검해 해결책을 찾아가야 할 시점이다. 더 이상 방치하면 미래가 없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