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신문·방송 각종 미디어를 통해 도시재생이라는 말이 화두로 떠올랐다. 그간 여러 지자체에서 도시재생이라는 이름으로 많은 정책과 사업을 펼쳐왔으며 그 효과를 본 지역도 여러 나타났다.

부산 감천동 일대는 '감천문화마을'이라는 이름으로 재탄생돼 전국에서 가장 관광객이 많은 지역으로 탈바꿈했다. 대구 동구는 근대역사를 구도심 일원에 스토리텔링과 접목해 골목길을 중심 도보여행 코스로 만들어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서울의 북촌·서촌일대를 비롯해 세운상가 등 여러 지역에서 도시재생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 등 다양한 효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문제점도 많았다. 관광·방문객이 증가함에 따라 거기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사생활 침해와 소음, 쓰레기 문제에 시달려야 했고 젠트리피케이션으로 토박이 상인은 생계 터전을 잃기도 했다.

문제도 많고 탈도 많은 도시재생, 관광지화가 다시 주목받아야 하는 것일까? 도시재생이란 말의 근본 의미를 찾아보았다. 도시재생이란 '산업구조의 변화, 즉 기계적 대량생산 위주의 산업에서 최근 신산업(전자공학·하이테크·IT산업·바이오산업)으로 변화되는 산업구조 및 신도시 위주의 도시 확장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기존 도시에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고 창출함으로써 쇠퇴한 도시를 새롭게 경제·사회·물리적으로 부흥시키는 도시사업을 의미한다. 그래서 관광객을 유치해 도시를 부흥하는 것만 도시재생은 아니라는 것이다.

도시재생에 대한 시야를 넓게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도시에는 다양한 기능이 혼재돼 있다. 금융, 상업, 제조업, 교육, 주거 등 다양한 기능에는 다양한 욕구가 있고 그것은 사람이 살아가면서 필수불가결한 것들이다. 그런 도시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는 것은 전혀 다른 기능을 추가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도시 거주민을 위한 기능 중 발전 가능성이 엿보이는 기능을 부각·육성해 도시의 부흥을 이끌도록 하는 것이 도시재생일 것이다.

그렇다면 확충된 새로운 기능을 지속성 있게 이끌기 위해 필요한 것은 주민이다. 정주하는 사람들에 의해 유지되고 발전돼야 가능한 일이지 관공서에서만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주민 자발적 사업 참여가 전제돼야 하는 것은 물론, 과거 권위주의적 관 주도에서 탈피해 주민행정, 주민주도가 필요하다고 많은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그러나 주민을 행정으로 끌어들일 방법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사람은 없다. 또 대부분의 주민은 생업에 종사를 하고 있고 시간적 여유가 없다고 한다. 그럼에도 목소리를 내지 않은 요구는 누구도 들을 수 없기에 사회적 참여가 꼭 필요한 일임에는 이견이 없다.

주민 참여 가능성은 최근에서야 조금씩 엿보이고 있다. 대한·아시아나 항공 사태와 노동운동을 볼 때 소위 '을의 반란'이 시작된 것이 그 예다. 광장에 나와서 자신의 의견과 목소리를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으로 긍정적인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이런 흐름을 도시재생과 잘 연계할 수 있는 것은 보상이라 생각한다. 보상이 없는 봉사만 강요한다면 지속성이 담보되기 힘들다. 중구에서 시행한 아이디어 공모전 및 실천 프로젝트가 약간의 상금을 포함하고 있는 것도 주민 참여 도출을 위한 수단 중 하나이다.

그리고 유럽과 일본, 미국 등 도시재생의 선진국에서 시행한 사업을 단순하게 끌어오는 것은 이질적이고 적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아이디어만 차용하는 것은 가능하겠지만 결국 도시에 필요한 기능을 확충하는 것은 주민이 목소리를 높여야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지자체나 정부에서는 정책에 참여하는 주민을 위해 대가를 지불할 용의가 있어야 한다.

도시재생과 재개발로 나뉘었던 구도심 개발은 결국 도시재생으로 귀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가 줄어드는 현재 상황에 대단위 개발은 실효성이 크지 않을 것이고, 작은 단위에서 변화하고 주민의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는 것이 도시재생이기 때문이다. 주민에게 정당한 보상을 제공하고, 이를 통한 적극적인 참여 확대를 이끌어 낼 때 지속가능하고 성공적인 도시재생이 가능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