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송철호 울산시장이 울산항을 북방물류의 중심항으로 육성하기 위해 홍보에 나섰다. 송 시장은 지역업체 415곳과 화주물류협의회 회원사 39곳, 선사대리점 31곳 등 총 485곳에 화물 수출입 시 울산항을 이용해달라는 내용의 서한문을 일제히 발송했다. 송 시장은 '울산항 이용에 많은 관심과 사랑을 부탁드립니다'라는 제목의 서한문에서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산업구조 특성상 수출입화물의 99%가 항만을 통해 처리될 정도로 국가 경제와 항만은 불가분의 관계로 여겨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울산항은 1963년 개항 당시 연간 물동량이 100만t에 불과했으나, 2017년 연간 물동량이 국내 항만 중 부산항과 광양항에 이어 세 번째로 2억t 고지를 돌파했다"고 소개했다. 송 시장은 그러나 "지역 화물의 상당 부분이 항로와 항차 수 등 항만 인프라가 부족해 부산항 등 다른 항만에서 처리되고 있다"고 안타까워하며 "울산항에서 처리할 수 있는 화물은 최우선으로 지역 항만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협조를 당부했다. 송 시장은 "남북 정상회담으로 무르익은 한반도 평화 분위기 속에서 민선 7기 공약과 접목해 앞으로 울산항을 북방물류의 중심 항만으로 육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송 시장의 서한문 발송은 북방물류 중심항으로 육성하려는 울산항에 대한 지역기업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 된다. 무엇보다 지역 화물을 많이 유치해 울산항 이용률을 높이고 물동량도 늘려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의지다. 울산항을 북방교역의 중심항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도 엿볼 수 있다. 문제는 북방교역에 대한 준비다. 울산을 두고 유라시아 철도연결을 통한 대륙진출, 북극항로 및 북방물류거점, 북방 크루즈관광항만, 북극해 거버넌스 중심지 등 북방경제의 선도적 역할을 할 중요한 지점에 있다고 이야기 한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는 국정운영 5개년 계획 지역공약 이행 방안에서 경상북도를 '환동해와 북방교역의 전진기지'로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 울산은 대상지역이 아니라는 이야기다. 먼저 이 부분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 울산이 북방교역의 여러가지 조건을 갖춘 도시라 해도 정부 정책 기조에서 빠져 있다면 짝사랑에 불과하다. 경상북도를 거점으로 한 북방교역에 해오름 동맹의 축인 울산이 함께 하도록 다양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북방지역은 러시아, 몽골, 중앙아시아, 중국 넓게는 북한까지 아우른다. 유럽과 묶인 유라시아는 세계 인구의 65%, 에너지 자원의 75%를 차지하는 거대 시장이다. 북방경제는 여러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정부는 세계 6위(5,737억달러)인 수출규모를 2022년까지 7,900억달러로 키워 일본을 제치고 세계 4위를 목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북방경제 활성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울산이 북방교역에 관심을 가진 것은 오래된 일이지만 올해부터는 양상이 다르다. 무엇보다 남북정상회담 이후 화해무드가 조성되면서부터다. 이 가운데 주목할 점이 철도와 해양부문의 기회다. 이미 부산의 경우 기차를 타고 러시아를 거쳐 유럽에 도착하는 일이 가시화될 것이라는 섣부른 전망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4·27 남북정상회담 결과 판문점 선언을 통해 '남과 북이 동해선 및 경의선 철도와 도로들을 연결하고 현대화하여 활용하기 위한 실천적 대책들을 취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힘에 따라 나오는 이야기다. 문제는 이 사안이 그냥 말로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언제든지 가시화 할 문제라는데 있다.

철도의 연결은 단순한 교통수단의 연결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강원도의 경우는 남북교류사업 재개 시 가장 가시적인 진전이 기대되는 사업으로 동해선의 연장선인 강릉∼고성 제진 간 동해북부선 철도 등 남북 강원도 간 철도 연결을 우선순위에 두었다. 동해북부선은 통일·북방시대를 대비하는 남북 종단연결교통망이자 미래 유라시아대륙과 통하는 핵심 교통망이다. 부산에서 북한∼러시아를 거쳐 유럽을 잇는 대륙철도와 연결하는 사업이다. 2016년 확정된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신규 사업으로 반영돼 있다. 총사업비는 2조3,490억원으로 시속 250㎞ 속도로 달릴 수 있도록 설계할 방침이다.

문제는  철도 노선이 한반도철도(TKR)∼시베리아철도 연계의 최적 노선인 데다 경제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는 데 있다. 만약 이 노선이 정말 실현된다면 해상운송보다 수송시간을 23일 단축, 획기적인 물류비 절감이 가능하다. 특히 동해북부선은 문재인 대통령의 신경제지도 구상의 핵심 중 하나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울산은 이미 동해안 시대를 대비한 여러가지 준비를 해왔다. 이미 울산은 울산~포항 고속도로 개통을 계기로 경제 권역을 확장하고 있다. 문제는 이제 단순한 동해안 시대를 넘어 울산이 북방으로 향하는 경제 거점의 중심축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이제는 동남권 중심의 인식과 행동에서 패러다임 전환을 모색해야 할 때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부의 북방정책에 울산이 함께 할 수 있도록 선 조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착실한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