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육 엑소더스가 끝없이 이어지는 나라, 기러기아빠와 시시족(두 도시에 걸쳐 사는 가족)도 수 없이 만드는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나라는 독립국이면서 교육적 측면으로선 종속국가라 해도 항거할 말이 없다. 제 나라가 엄연히 있는데도 코흘리개만 면하면 외국으로 서울로 내보내지 못해 안달이고, 또 그렇게 하지 못하면 정상적인 성인으로 키울 수 없다는 강박감에 젖어있는 나라의 부모들이다. 그래도 서울은 좀 나은 편에 속한다. 지방으로 내려오면 도무지 아이 키울 방도가 나오지 않는다고 아우성이다. 지방근무 발령을 받으면 가족은 그대로 내쳐두고 달랑 혼자만 빠져 나온다. 모두 교육 때문이다. 서울서도 제대로 키우기가 어려운 판에 학원을 비롯해 모든 교육인프라가 훨씬 못한 지방에서 아이를 키우겠다는 것은 일종의 모험으로까지 여겨진다. 그러나 지방의 교육현실을 들여다보면 더 한심하다. 완고하기 짝이 없는 교육행정은 말할 것도 없고 집 밖으로 나서면 어느 것 하나 제대로 작동되는 것이 없다. 서울 등 대도시와 비교, 상대적으로 질이 낮은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도 수업료는 서울 유명학원을 뺨치게 비싼 것이 현실이다.
 특히 울산의 경우 선택의 여지가 없어 '울며 겨자 먹기'로 특정학원을 다녀야 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학원이 교육청에 신고하는 수업료는 누구의 지시가 아닌 자발적 의사결정 사항이다. 그렇다면 당연히 수강생들에게 이 금액을 징수해야 하는데도 현실은 전혀 딴판이다. 신고 금액의 2~3배 징수가 다반사다. 그러면서 왜 신고금액과 틀리느냐고 반문하면, 현실을 모르는 소리라고 맞받는다. 예컨대 수익자부담 부분이 빠져 있다고 한다. 즉 미디어수업 등에 따른 수익자부담을 감안하면, 실제 징수 수업료를 많다거나 폭리로는 결코 볼 수 없다는 설명이다. 그럼 학원 운영자들이 실제 징수금액대로 소득 신고를 하고 그에 준하는 세금을 내는가. 여기에 답변을 할 수 없다면 이런 주장은 억지에 지나지 않는다. 학원을 관리 감독해야 할 위치에 있는 교육청 역시 현실 운운하며, 학원을 비호하고 감싸기에 앞서 이 문제를 분명히 짚어야 하는 것이 공무원의 기본적인 직분이다. 현실을 조정, 수업료를 현실화하는 문제는 차후다. 이런 '어물쩍' 관행이 결국 탈세를 조장하고, 갖가지 편법이 동원되게 된다. 학원가가 과세과표에 바로 잡히는 카드결재를 기피한다는 것은 해묵은 이야기다. 학원은 영업이익에 앞서 공교육 못지않게 내일의 이 나라 동량을 가르친다는 사명감을 가져야 한다. 사교육이 공교육을 능가하는 현실 아닌가. 학원정화는 그 어떤 일보다 우선되어야 할 과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