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13일 오후 11시 45분께 남구 선암동 명동삼거리 인근 도로 아래 매설된 대형 스팀 배관이 폭발해 다량의 스팀이 분출되면서 도로가 패고 덤프트럭 1대가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해 14일 폭탄을 맞은 듯한 사고현장에서 경찰과 국과수 등 관계자들이 현장조사를 벌이고 있다. 유은경기자 usyek@
지난 13일 오후 11시 45분께 남구 선암동 명동삼거리 인근 도로 아래 매설된 대형 스팀 배관이 폭발해 다량의 스팀이 분출되면서 도로가 패고 덤프트럭 1대가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해 14일 폭탄을 맞은 듯한 사고현장에서 경찰과 국과수 등 관계자들이 현장조사를 벌이고 있다. 유은경기자 usyek@

울산 석유화학공단 지하배관 사고가 또 발생했다. 노후 배관, 굴착 등 사고원인이 드러나지 않아 주민 불안은 더 높은 상황이다. 그럼에도 관할 지자체는 안전점검 등에 대한 관리감독 권한이 없고, 각종 배관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갖추지 못하는 등 사고대응에 허점을 보이고 있다.

# 남구 선암동 명동삼거리  인근서 분출
전문가들은 지하배관 통합관리 기구인 '통합안전관리센터'와 공동배관망 구축 등을 요구해 왔지만 정부와 지자체는 예산부담 문제로 10년째 미루고 있다.

지난 13일 오후 11시 45분께 남구 선암동 명동삼거리 주변 도로 지하에 매설된 대형 스팀배관이 폭발해 스팀이 분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공단에서 명동삼거리 방향 편도 2개 차로 일부가 패고, 덤프트럭 1대도 파손됐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도로 파손 부위는 가로 10m, 세로 3m에 깊이 3m 정도다.

# 도로 패이고 덤프트럭 1대 파손
사고 배관은 한주가 2012년 설치한 한화종합화학과 롯데정밀화학으로 연결되는 직경 700㎜의 고압 관로다. 배관 총 길이는 4~5㎞ 정도다.

소방당국은 주민신고를 받고 긴급 출동해 50여분 만에 밸브를 차단하고, 남구에 인계했다. 경찰은 폭발 원인을 찾기 위해 해당 배관을 잘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분석 의뢰할 예정이다.

한주 관계자는 "노후배관도 아니고 굴착 등도 없었다. 2~3일 전에도 점검을 했는데 분출사고가 나 당황스럽다"며 "정기점검 등은 적법하게 해왔다"고 말했다. 이처럼 사고원인이 오리무중이라 시민들이 더 불안한 상황이다.

# 업체측 "2~3일 전에도 점검 문제없어"
행정·소방당국은 스팀의 경우 누출됐을 때 인체에 위협을 줄 수 있는 화학물질이 아니다보니 상대적으로 느슨히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2014년과 2015년, 2016년에도 울산서 스팀배관 사고가 있었고 2015년 10월 청주 한 보일러 공장에선 누출된 뜨거운 수증기에 3도 화상을 입고 직원 1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처럼 각종 배관사고가 이어지지만 근본 안전대책은 마련되질 않고 있다. 지하배관의 점검·관리는 1차적으로 사용 업체가 하도록 돼있다. 스팀배관의 경우 한국에너지공단이 1년마다 정기점검을 하고 있지만 남구는 도로법상 허가 과정에만 관여할 뿐 이에 대한 관리감독권은 없다. 시·구청이 점검·관리에 손을 놓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 배관 물질·특성·재질 등 DB 필요"
배관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도 없어 남구청은 사고가 발생하면 해당 배관에 대한 내용을 일일이 연도별로 다 뒤져야 한다. 허가사항, 매설 깊이 등 자세한 정보를 알려면 문서고에 있는 도면을 꺼내서 확인해야 한다. 주제별 검색, 인근 배관 등 연관 정보 등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 베이스화 등 시스템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한국화학연구원 RUPI사업단장 이동구 박사는 "최근 지하배관 지도를 갖췄지만 부족한 부분이 많다. 울산석유화학공단 지하에는 1,700㎞의 각종 배관이 묻혀있고 그중 70%가 15년 이상된 낙후 배관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업체별로 자신들 배관만 관리하지 그 정보가 공유되지 않는다. 때문에 통합 파이프랙을 구축하는 한편 3D지도를 제작해야 한다"며 "배관을 흐르는 물질, 특성, 재질 등을 코드별로 데이터 베이스화 해 4차 산업시대에 맞게 지하배관을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전문성 확보 컨트롤타워 설치 시급
배관 관리 전문성 확보를 위한 컨트롤 타워 마련도 시급하다. 통합안전관리센터는 정부나 지자체가 전문가·기업과 협업해 상이한 관리 법규에 대응하고, 적은 인력으로 전체 배관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 박사는 "센터 설립을 10년 째 요구해왔다. 대선 공약과 민선 7기 시장 공약이라 기대를 걸었지만 예산 문제로 진척이 매우 더디다"면서 "국민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인만큼 정부나 울산시가 최우선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주영기자 uskjy@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