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이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에 발맞춰 북방물류시장에 선제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연구조직 구성 및 전문인력 확충, 중장기 로드맵 수립 등에 나서야 한다는 정책적 제언이 나왔다.

울산발전연구원(원장 오정택) 김승길 박사는 16일 이슈리포트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울산 교통·물류 연계방안'을 통해 울산의 북방물류시장 진출을 위한 선결과제를 제시했다. 김 박사는 "울산은 육해공 모든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국내 교통·물류의 요충지로,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과 연계해 북한뿐만 아니라 중국, 러시아 등 유라시아 대륙 진출에 용이한 지역"이라고 평가했다.

도로, 철도, 항만, 항공 중에서도 2005년 남북해운합의서를 통해 개설된 남한의 인천·군산·여수·부산·울산·포항·속초항과 북한의 남포·해주·고성·원산·흥남·청진·나진항 간의 해상항로를 우선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또 조선, 자동차, 석유화학 등 울산의 주력산업이 국내에서 우위적인 지위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항만과 산업의 강점을 살려 북한의 환동해권에 위치한 경제특구 및 경제개발구와 적극적인 연계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함께 울산지역 교통·물류 및 산업의 강점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특수경제지대 주요도시인 나진·선봉, 청진, 단천, 함흥, 원산과 중국의 동북3성,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등과의 자매결연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그는 울산이 북한을 포함한 중국·러시아 등 극동지역 물류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북방물류 관련 연구조직 구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덧붙여 북방물류시장 진출을 위한 사업 발굴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고,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대북협력 노하우와 관련 지식을 갖춘 전문인력 확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남북교류협력 및 북방물류시장 진출을 위한 사업은 지자체 단독 주도로는 힘든 실정이므로, 정부·지자체·기업·단체 간의 네트워크 형성 및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김지혁기자 uskjh@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