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탄은 이정 묵란도(16세기).
탄은 이정 묵란도(16세기).

 

울산박물관이 탄은(灘隱) 이정의 '묵란도' 등 중요 유물 6점을 확보했다.
 울산박물관은 지난 6월~9월까지 경매를 통해 이정의 '묵란도'를 비롯해 박은식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술재 변박의 '송하고승도', '계해 금오계첩' '경신 금오계첩' '국서누선도' 등 6점을 구입했다고 27일 밝혔다.

# 지난 6~9월 경매 통해 구입
탄은 이정(1554~1626)의 '묵란도'는 날카롭게 뻗어 내린 잎맥, 가시나무 등에서 이정 특유의 힘찬 필묵이 잘 드러나 있으며, 난초 잎에 초록색 물감을 가미한 점이 돋보인다.
 이정은 조선시대 3대 묵죽화가 가운데 한 명으로 난초를 자주 그렸는데, 특히 이 작품은 이정의 작품 가운데 비교적 이른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박은식(1859~1925)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는 갑신정변(1884년)부터 3·1운동 다음 해(1920년)까지의 일제의 침략과 독립운동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상편(25장), 하편(31장), 부록으로 구성돼 있다.
 상편은 개항 이후의 일제의 침략과정 및 탄압을 폭로했다. 하편은 3·1운동을 기준으로 이전과 이후의 독립운동 활동 및 임시정부의 수립 등을 서술하고 있다. 부록에는 한국 독립운동에 대한 해외 관련 기록 등을 수록했다. 울산박물관 소장본은 1920년 초판본으로 보존 상태는 양호하다.
 술재 변박의 '송하고승도'는 아래에서 위로 뻗어 올라가는 소나무 밑으로 늙은 승려와 호랑이를 그린 작품이다. 그림의 배경에 해당하는 소나무 및 바위와 언덕은 짙고 옅은 먹의 변화를 볼 수 있고, 그림을 그린 필선에서 붓의 속도감이 완연히 느껴진다. 또한 승려와 호랑이를 세밀한 붓으로 꼼꼼히 담아내고자 한 노력의 흔적이 엿보인다.

# "시민 문화 향유권 증진 최선"
박물관 측은 이 작품이 화기를 통해 볼 때 1765년 봄에 그린 일본 수출용 작품임을 알 수 있으며, 작품의 수준이나 크기 면에서 변박의 대표작에 해당된다고 밝혔다.
 '계해 금오계첩' 및 '경신 금오계첩'은 조선후기 의금부도사들의 모임을 그린 작품이다. 계첩은 조선시대 기록화의 한 종류로, 관료 문인의 계회(契會)를 기념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됐다. 이 작품은 관청 및 참여한 인물을 중점적으로 묘사하고 주변 배경을 생략한 조선후기 기록화의 전형을 보여준다.
 '국서누선도'는 일본 에도시대 당시 일본인 화가가 통신사 정사일행이 타던 선박을 정교하게 그린 작품이다. 양쪽이 잘려 완전하지는 않지만 주요 부분들은 모두 잘 남아 있어서 대외 교류사, 선박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작품이다.
 울산박물관 관계자는 "앞으로도 명품 유물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울산시민의 문화 향유권을 증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강현주기자 uskhj@ulsanpress.net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