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구 삼산동 일대는 주말·공휴일이면 백화점과 호텔, 영화관, 상가 이용 차량 등으로 주차난이 심각하지만 울산시는 개인사업자와 법정소송까지 해서 돌려받은 남구 삼산동 1477-6 일대 삼산 공영주차장 부지를 1년이 넘도록 증축 등 활용방안을 모색하지 않아 시민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평일임에도 울산고속·시외버스터미널 및 백화점과 상가 일대 주변 도로가 혼잡하고 남구 삼산 공영주차장이 만차 상태인 모습.  유은경기자 usyek@
남구 삼산동 일대는 주말·공휴일이면 백화점과 호텔, 영화관, 상가 이용 차량 등으로 주차난이 심각하지만 울산시는 개인사업자와 법정소송까지 해서 돌려받은 남구 삼산동 1477-6 일대 삼산 공영주차장 부지를 1년이 넘도록 증축 등 활용방안을 모색하지 않아 시민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평일임에도 울산고속·시외버스터미널 및 백화점과 상가 일대 주변 도로가 혼잡하고 남구 삼산 공영주차장이 만차 상태인 모습. 유은경기자 usyek@

울산시가 주차난이 심각한 삼산지역 공영주차장과 관련해 증축할 수 있는 주차시설도 활용하지 않아 시민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 늘 혼잡한 삼산 공영주차장 일대
11일 울산시에 따르면 시는 남구 삼산동 1477-6 공영주차장을 개인사업자와 법정 소송까지 해가며 돌려받았다. 하지만 부지를 인도받은 지 1년이 넘도록 증축 등 활용 방안은 찾지 않고 있다.

지난 10일 찾은 남구 삼산동 1477-6 삼산 공영주차장. 주차면수가 102면에 불과해 평일인데도 '만차'였다. 주말, 공휴일이면 백화점과 호텔, 영화관, 상가 이용 차량 등 주차장에 진입하려는 차량들로 이 일대가 혼잡하다.

앞서 시는 김철 전 울산상의회장(성전랜드(구 성전사) 대표)이 당초 도시시설계획대로 주차장 시설을 짓지 않는다며 2016년 법적 소송을 제기해 소유권을 돌려 받았다. 지난해 6월 10일 울산지방법원의 2심 확정으로 소유권이 완전히 시로 이전된 지도 1년이 넘었지만, 운영 성과를 분석한다는 이유로 증축 등 활용 방안을 찾지 않고 있다.

김 전 회장은 2000년 12월 624대 규모의 자주식 주차장을 건립하는 조건으로 이 부지의 도시계획시설 사업 시행자로 지정됐다. 2012년 4월 소유권도 김 전 회장에게 넘어갔다. 그러나 김 전 회장은 '사업성이 없다'는 이유로 7차례에 걸쳐 실시계획인가 신청 기일을 연기했다.

# 매년 주차장 운영 수익 1억6천여만원
급기야 2012년 김 전 회장이 633대 규모의 주차장과 근린생활시설을 포함한 지상 11층 규모의 건물을 짓겠다고 나서자 시가 부지 반환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하면서 지역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다. 부지를 인도받은 시는 지난해 8월 15일부터 울산시설공단에 공영주차장으로 위탁 운영하고 있다.

시는 1년 간 위탁운영 결과를 분석해 활용방안을 찾을 계획이었으나 1년 3개월에 다다른 지금껏 뚜렷한 활용계획은 세우지 않고 있다. 시가 지난해 8월 17일부터 30일까지 일별 평균 주차수입을 분석한 결과 주차수입은 118만 5,000원이었다.

1년이면 4억 3,252만 5,000여 원의 수입을 벌 것으로 추정된다. 공단 위탁운영 비용은 연간 2억 6,928만 8,000원이다. 해마다 1억 6,300여만 원의 수입이 있는 것이다.

# 시 "차량억제 정책 따라 증축 부정적"
그러나 현재 시는 이 주차장을 무작정 증축할 수는 없단 입장이다. 울산시 교통정책과 관계자는 "현재 시 교통정책 기조는 차량 억제"라며 "주차시설이 부족하다고 계속 짓는다면 차량이 더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무작정 주차장을 증축할 순 없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시민 박기연(30) 씨는 "주차장이 부족하다고 차를 안 가지고 다니진 않는다"며 "시가 지하철 건설이나 버스 배차시간을 줄이는 등 대중교통을 편리하게 구축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작정 시민들에게 불편을 감내하라는 것은 무책임한 행정"이라고 말했다.

남구청 역시 주민 민원과 삼산지역 상권 활성화 측면에서 시에 공영 주차장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남구 관계자는 "삼산동에는 주차시설이 부족해 꾸준히 주차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평창현대 등 삼산지역 주차장 확대를 꾸준히 시에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주영기자 uskjy@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