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의 태화루와 광화문 복원공사 등에 외국산 목재가 15% 이상 사용된 것은 공통적으로 문화재수리재료센터의 부재가 원인이란 지적이 국감장에서 나왔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이상헌 의원(더불어민주당·울산 북구)은 16일 열린 문화체육관광부 국정감사에서 "울산 태화루 등 최근 각종 문화재 수리·복구 과정에서 외국산 목재의 사용 비율이 늘어난 이유는 적시에 알맞은 목재를 국내에서 찾지 못했고, 2008년 화재 이후 5년 만에 복구된 숭례문의 기둥이 5개월 만에 갈라지고 뒤틀린 이유는 덜 마른 목재를 썼기 때문이다"며 "이 두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목재 등 문화재수리재료의 건조·보관·공급시설이 꼭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이 의원은 이어 "현재까지도 국내에선 충분히 건조된 목재를 구할 방법이 별로 없는 점이 문제"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문화재 복원·복구 시 건조상태나 크기, 모양 등 알맞은 목재를 국내에서 찾지 못하자 어쩔 수 없이 외국산 목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며 "특히 목조건축문화재의 기둥 등에 사용하는 450㎝ 이상의 특대재(대경목)는 매년 수요가 발생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1년 주기로 목재가 유통되는 민간시장에서의 국내 생산량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국내 문화재 중 수리·복구 과정에서 외국산 목재가 사용된 비율을 보면, 2015년 7.8%였으나 2016년엔 13.7%로 확 늘었다"며 "특히 울산 태화루에는 외국산 목재가 16.7%나 쓰였고, 서울 광화문에는 15.19%나 사용됐다"고 질타했다. 그는 "이는 원형유지를 기본원칙으로 하는 '문화재수리법'에 위배된다"고 추궁했다.
그러면서 그는 "2014년 감사원 감사에서도 이와 같은 취지의 지적이 있었던 만큼, 목재 등 문화재수리재료를 건조, 보관, 공급할 수 있는 시설이 꼭 필요하다"며 "국가 차원에서 목재 등을 장기간 건조, 보관, 공급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의원은 특히 "문화재수리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74% 이상이 국내산 특대재의 수급이 부족하다고 답했고, 76%가 국가기관 주도의 문화재수리용 목재의 생산 및 공급이 필요하다고 답했다"면서 "미국과 일본에는 비슷한 목재 건조시설이 2군데나 있는 만큼,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문화재수리재료 보관시설이 하루빨리 확보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최성환기자 csh@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