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의 인구 문제가 붕괴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 

자동차·조선 등 주력산업 성장둔화와 고용감소 여파로 울산의 인구가 35개월 째 순유출되는가 하면 경기불황에 기인한 출산기피, 비혼주의가 확산되면서 인구관련 지표가 총체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국내인구이동' 현황 자료를 보면 울산은 9월 한 달동안 1만 65명이 유입되고, 1만 899명이 빠져나가 총 834명이 순유출됐다. 인구 순이동률(인구 백 명당 이동자 수)은 -0.9%로 서울(-1.3%), 대전(-1.0%)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인구유출 규모는 6월 1,319명, 7월 1,015명, 8월 1,180명 등 3개월 연속 1,000명선에서 9월(-957명), 10월(-834명) 2개월 연속 1,000명 이하로 떨어져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울산의 인구의 순유출 규모는 2015년 12월(-80명)월부터 시작해 2016년 -7,622명,  2018년 1~10월 -9,956명 등 35개월 연속 감소했고 총 유출규모는 2만 9,575명에 달했다. 주력산업 쇠퇴로 인한 경기 불황이 30개월째 이어지면서 취업자 감소와 생산가능인구 감소, 내수침체 등 구조적 결핍이 발생하고 이는 울산지역 고용시장을 냉각시키며 인구유출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실제 10월 울산의 실업자 수는 2만 8,000명으로 지난 3월부터 8개월째 증가했다. 울산의 실업률은 9월(5.0%), 10월 4.7%로 2개월 연속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자동차와 조선 등 주력 제조업의 부진으로 인한 고용쇼크가 도소매ㆍ음식숙박 등 서비스업과 건설업 등 산업전반으로 확산되며 고용쇼크가 해소되지 않으면서 울산의 인구유출 행렬이 멈추질 않고 있다"고 말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출산율이다. 인구 증감의 1차적 지표가 되는 출산율은 올들어 낙폭을 키우며 브레이크 없는 하락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올 들어 9월 말까지 누계 울산의 출생아 수는 9월 700명을 포함해 총 6,3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7% 감소했다. 이는 대전(-15.3%)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감소율이다. 

울산의 출산율이 이 속도를 유지할 경우 올해 말에는 연간 출산율이 9,000명에도 미치지 못할 처지에 놓이게 된다. 지난해 사상 처음 1만 명 아래로 떨어지는 충격을 겪은 울산의 연간 출산율은 또다시 최저점을 경신할 기세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인 합계출산율은 3분기 울산의 합계출산율도 1.12명(전국 0.95명)으로 전년동분기보다는 -0.15명 줄어들었다. 합계출산율이 1보다 낮아지면 여성 1명이 평균적으로 평생 1명 미만의 출생아를 낳는 상태라는 의미다. 기존 인구 규모를 계속 유지하려면 합계출산율이 2.1명 이상은 돼야 한다. 이대로라면 울산의 인구는 '반토막'을 우려해야하는 실정이다.

출생아 수의 선행지표인 혼인 건수도 줄고 있다. 9월말까지 울산의 혼인건수는 4,2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0.6% 감소했다. 울산의 혼인 건수는 전국에서 가장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또 경남(-9.2%), 전북(-8.6%), 부산(-8.5%) 등이 뒤를 이었다. 울산의 조혼인율(인구 1,000명당)도 4.2명으로 전년동기에 0.2명 감소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비혼(결혼하지 않음)이나 만혼(결혼을 늦게 함) 등 결혼 자체에 대한 가치관 변화의 영향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혼인·이혼 건수는 명절이 끼어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 어느정도 영향을 많이 받는데, 지난해와 달리 올해엔 9월에 명절이 있어서 혼인 건수가 줄어드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인구 문제는 곧바로 도시안정성과 직결된다. 탈울산과 저출산 고령화 사회는 도시가 성장을 멈추고 쇠퇴한다는 의미다. 울산을 살고 싶은 도시, 사람이 모여드는 도시로 만들 새로운 정책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출산 대책도 중요하지만 은퇴자들이 울산을 떠나지 않도록 만드는 일이 더 중요하다. 은퇴자들은 재취업과 전직 등 소득을 유지하는데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울산시는 재취업·전직 지원, 창업 지원, 여성일자리 활성화, 사회공헌활동 지원을 통해 소득절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방안을 찾고 있다. 귀농귀촌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보다 구체적인 지원을 하는 부분도 이같은 사안을 고려한 조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실질적인 정책이다. 

인구는 곧 도시의 자산이자 미래성장의 담보물이다. 인구감소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당장 마련해야 한다. 35개월째 인구 순유출은 이제 인구 유출이 고착화 되고 있다는 지표다. 인구유출이 고착화되면 돌이킬 수 없는 사태가 된다. 때늦은 후회로 더 이상의 출구가 없게 되기 전에 대책을 세워야 한다. 울산시의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