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여전히 오리무중인 가운데 점차 '연내'보다는 '연초'로 무게 중심이 옮겨가고 있다.
청와대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여전히 김 위원장이 연내에 서울을 방문할 것이라는 전제 아래 준비에 만전을 기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앞서 9일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출입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통해 "정부는 서울 정상회담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준비해 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현재로서는 확정된 사실이 없으며, 서울 방문은 여러가지 상황이 고려돼야 하는 만큼 우리로서는 서두르거나 재촉할 의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9일 현재까지 북측의 연락이 없자 자연스레 내년 초 답방 가능성이 청와대 안팎에서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그동안 청와대에서는 김 위원장이 연내 답방을 결심할 경우, 휴일인 이날까지는 북한이 한국 정부에 입장을 전달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여기에는 연말에는 김 위원장의 내년 신년사 준비나 김 위원장의 조모인 김정숙의 생일(24일) 등 북한 내부 일정을 고려할 때, 답방 시기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기일인 17일에서 24일 사이가 유력하다는 예측이 전제돼 있었다.
한편으로는 연내 답방이 가능하다는 관측도 여전하다. 김 위원장 답방에 대한 언론의 관심이 워낙 커 청와대가 '속도조절' 차원에서 연내보다는 연초 가능성을 띄운 것일뿐, 실제로는 연내 답방 가능성이 살아있다는 해석도 적지 않다.
이와 관련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김 위원장 답방에 대한 언론의 관심이 워낙 커 과열 보도가 증폭되고 있어 입장을 한번 정리한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북측의 통보 시점에 대한 마지노선이 있느냐'는 물음에 "그런 건 없다"고 밝혔다. 이는 언제든 한국에 통보를 하면 이후 일사천리로 일정조율이나 경호·의전 준비가 이뤄질 수 있다는 것으로, 설령 12월 중순 후에 북측의 결정이 이뤄지더라도 연내 정상회담을 성사시킬 수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이 관계자는 "만약 김 위원장이 온다는 결정이 갑자기 이뤄지면 프레스센터 없이 (정상회담 일정을) 치러야 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고도 말했다.
준비 기간이 부족하면 부족한 대로 거기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얘기다. 연내 답방이 유력하다고 예측하는 쪽에서는 '13일 답방설''18~20일 답방설'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계속 흘러나오고 있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특히 남북이 이미 물밑에서 구체적 답방 일정에 공감대를 이뤄놓고도 경호 문제 등을 고려해 발표만 미루고 있다는 추측도 일부에서 나온다.
미리 세부 일정을 다 맞춰두고 답방 전날이나 2∼3일 전에 '깜짝 발표'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서울=김잠출기자 usm0130@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