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일자리가 31만개 늘어났지만 대기업과 제조업의 일자리가 대폭 줄어어 일자리의 질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17일 발표한 '일자리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일자리 수는 총 2,316만개로 1년 전의 2,285만개보다 31만개(1.4%) 증가했다. 

지난해와 같은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일자리'가 1,718만개(74.2%), 퇴직·이직으로 근로자가 바뀐 '대체 일자리'는 296만개(12.8%)였다. 기업체가 설립되거나 사업이 확장돼 새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302만개(13.1%)였다. 

신규 일자리는 개인 기업체가 140만개(46.3%)로 회사 법인(130만개·42.9%)보다 더 많이 제공했다. 신규 일자리의 83.1%(251만개)는 중소기업에서 나왔다. 반면 전체 일자리 중 회사법인 일자리는 48.2%로 가장 많았고, 개인기업체 일자리는 31.5%였다. 영리기업에서 일자리의 79.6%(1,844만개)를 제공했으며, 이중 중소기업 일자리는 80.7%(1,488만개)나 됐다. 중소기업과 비영리기업의 일자리는 각각 16만개, 15만개 늘었지만 대기업 일자리는 2,000개 줄었다. 

산업별 일자리 규모는 양질 일자리로 인식되는 제조업이 470만개(20.3%)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1년 전보다 7만개 줄어 20개 업종중 일자리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상대적으로 열악한 50세 이상 인구의 일자리가 급증한 반면 청년세대 일자리 사정은 악화됐다. 전체 일자리의 72.0%(1,668만 개)를 30~50대가 점유하고 있었다. 40대가 26.4%로 가장 많았고 50대(22.9%), 30대(22.7%), 20대(14.2%), 60세 이상(12.9%), 19세 이하(0.9%) 순이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60세 이상이 점유한 일자리가 25만개(9.1%) 증가했다. 50대는 17만개(3.3%),20대는 1만개(0.2%) 각각 증가했다. 반면 30대는 8만개(-1.4%), 40대는 2만개(-0.4%), 19세 이하는 1만개(-5.8%) 각각 감소했다.  하주화기자 usjh@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