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1일 남구 성암동 대성산업가스(주) 울산공장 ESS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지난 21일 남구 성암동 대성산업가스(주) 울산공장 ESS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지난 21일 남구 성암동 산업용 가스 제조업체 대성산업가스(주)에서 발생한 화재 사건의 원인으로 지목된 에너지저장장치(ESS)가 울산 산업단지에 다수 설치·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015년부터 정부의 전력 수요관리 차원에서 에너지 다소비업체를 중심으로 잇따라 설치되고 있는 것. 하지만 ESS가 무서운 속도로 보급됨과 동시에 화재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우려를 사고 있다. ESS화재는 대성산업가스 화재를 포함해 21건으로, 사업자, 지역사회, 행정기관 등의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있다.

22일 울산시와 전기안전공사 등에 따르면, 울산에는 2018년 12월 기준 63개의 ESS가 가동되고 있다.  대부분 전력소비가 많은 기업체와 발전사다. 대성산업가스(주)에는  이틀 전 불이 난 ESS 외 3개의 ESS가 더 설치돼 있으며, 고려아연이 5개로 가장 많았고, LS니꼬동제련, 한국프랜지, SK가스,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세진중공업, 효성용연공장, 한국동서발전,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등에 1~4개씩 운영되고 있다. 울주군청사, 유니스트에도 설치돼 가동 중이다.

ESS는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내보내는 장치다. 2015년부터 보조금 지원, 전기료 할인 등의 정책으로 ESS보급이 늘어났다.  하지만 대성산업가스의 화재를 비롯해 ESS에서 화재가 잇따라 발생하자, 안전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보조금 지원을 받기 위해 무리하게 ESS 보급을 늘린 부작용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2017년부터 최근까지 ESS에서 난 화재는 모두 21건, 지난 14일 경북 양산과 완도 신지에서 피크저감용 ESS와 태양광연계 ESS에서 불이 났다. 이어 15일 전북 장수 태양광 연계 ESS에서, 21일 울산 대성산업가스 ESS도 화재가 발생해 배터리실이 전소됐다. 올해만 4건이다. 지난해 11월 정부가 대책을 발표하고 전국 사업장에 대한 민관 특별 점검까지 벌였지만 화재는 끊이지 않고 있는 것.

정확한 화재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배터리 자체 결함이냐, 시공상의 문제냐를 두고도 의견이 분분한 상황. 시설이 전소된 탓에 배터리나 전력변환장치(PCS) 등 어느 부분에서 불이 시작됐는지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아서다. 업계에서는 배터리 시스템 결함, 시공 불량, 필수 보호 연결 장치 누락, 등의 이유로 사고가 났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을 뿐이다.
다만, 관련 제도의 미비에 대해서는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반복된 사고의 원인으로 재생에너지 정책 달성을 위한 무리한 보급을 지목하고 있다. ESS가 이제 막 등장하는 산업이다 보니 ESS 시공, 설치, 운용과 관련해 제대로된 안전기준이 미흡한 상태로 이제 막 안전기준 및 조치를 만들기 시작한 상태라는 것이다.

전기업계에서는 "안전에 대한 기준 등을 먼저 확보한 다음 안전 기준대로 ESS를 설치하고 관리해야 하는데, 보조금 지원과 연계돼 너무 급격하게 ESS를 늘리는 바람에 안전 조치가 많이 미흡하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가동시설에서 유사 화재사고가 언제든 추가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때문에 명확한 해법이 제시될 때까지 정부 보급지원을 중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편, 대성산업가스 울산공장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로 48억여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산됐다. 전날 화재로 대성산업가스 울산공장의 3층짜리 ESS 건물 2, 3층이 전소됐고, 내부에 있던 3,000여개의 리튬 이온 배터리, 전기 설비 등이 불에 탔다. 이중 리튬 이온 배터리 소실로 인한 피해액만 42억여원 정도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까지 화재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소방당국과 경찰은 합동 감식을 통해 화재 원인을 규명할 예정이다. 김미영기자 myidaho@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