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은 항일정신이 땅속 깊이 새겨진 도시다. 일제강점기는 말할 것도 없고 오래전 임진왜란 시절의 의병활동과 도산성전투 등 울산에서 벌어진 수많은 외세 저항운동이나 의병활동, 독립운동 등이 이를 잘 말해주고 있다. 

울산은 3·1운동 뿐만이 아니라 신라시대 이후 왜구의 침략에 맞서고 임란시절, 의병활동으로 왜와 치열한 전투를 벌였던 충절의 고장이다. 특히 일제강점기인 1919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저항해 전 민족이 일어난 항일독립운동은 울산에서 그 꽃을 피웠다. 만세운동은 3월 상순 이후 전국의 각 지방으로 번졌고, 울산의 만세운동은 1919년 4월 2일 언양 장터에서 가장 먼저 시작했다. 언양 4·2만세운동은 천도교 울산교구 교도와 지역유지, 상인 등 2,000여 명이 태극기를 일제히 흔들며 '대한독립만세'를 소리 높여 외쳤다.

이를 계기로 울산 곳곳으로 만세 운동이 번졌다. 이틀 뒤인 4월 4일 오전 9시 일신학교(현 병영초등학교)에서는 병영지역 청년회원과 주민들이 축구경기 시축을 신호로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고 독립선언서를 배포하는 '병영 4·6만세운동'이 이어졌다. 4월 8일 남창 장날에서도 온양 및 인근 고을의 장꾼 등 2,000여 명이 참가하는 '남창 4·8만세운동'이 열렸다. 무엇보다 울산은 숭고한 민족자결운동의 숨결이 녹아 있는 고장이고 박상진 선생과 최현배 선생 등 우리 민족사에 빛나는 영웅을 배출한 도시다. 

이제 한 달여 뒤면 3·1운동 100년을 맞게 된다. 일제의 무단통치에 맞서 조국의 광복을 외치며 거리로 떨쳐나섰던 날이 100년 전이다. 그날의 함성과 절박함을 아무리 곱씹어도 실감할 수 없을 만큼 긴 세월이 흘렀다. 강산이 변해도 열 번은 변했을 세월이니, 감흥이 일지 않는 것을 탓할 수만은 없다. 어제의 일도 아니고, 한 세기나 지난 일을 되새기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우리 역사를 바로 알리기 위해 노력해온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다가오는 3·1운동 100년을 맞아 '3·1 독립선언서 읽기' 캠페인을 펼친다는 소식이다. 서 교수는 캠페인을 위해 독립선언서 원본, 대통령 직속 3·1 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www.together100.go.kr)가 알기 쉽게 풀어쓴 독립선언서 내용, 태극기 목판 등을 담은 9장의 카드뉴스를 만들었다. 이를 서 교수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등 SNS를 통해 퍼트리고, 젊은이들이 자주 찾는 포털 사이트에 지속해서 노출할 계획이다.

그는 "3·1 운동 100년을 맞아 독립선언서를 전 국민이 한 번씩은 읽어볼 기회를 제공하고자 이번 SNS 캠페인을 펼치게 됐다"며 "독립선언서를 시민에 직접 배포하거나 영상을 통한 홍보도 기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울산시도 삼일운동 100년을 맞아 전 시민들이 참여하는 독립선언서 읽기 운동 등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울산시가 주최하지 않아도 된다. 시의회가 나서도 되고 시민단체가 나서도 될 일이다. 어디서 나서든 이번 삼일운동 기념일에는 100년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민참여형 행사가 기획되기를 기대한다. 

오늘 이 땅에 사는 우리는 3·1운동을 기억하고 새겨야 할 의무가 있다. 조상의 기일을 기억해야 하는 것 이상으로 민족자존과 얼을 지켜나가야 하는 것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근본 없는 족보가 없듯이, 한 나라와 민족에게도 민족적 정체성을 밝혀 줄 역사가 있다. 

3·1운동은 우리의 국민교육헌장과 헌법에 명시되어 있듯이 오늘의 우리를 우리답게 지켜낸 최고의 상징적 사건이다. 한일합병으로 나라의 주권을 빼앗겼던 우리가 가만히 앉아 있었더라면 대한민국이라는 국호, 한민족이라는 단어 자체가 지구상에 존재할 수 없었다. 삼일절은 바로 이를 기념하고 국민적 각오를 새롭게 다지는 날이다.

울산은 관문성이라는 왜구들과의 오랜 전투 현장이 있는 지역이다. 이 때문인지 고려조는 물론 임진왜란 시기에도 어느 지역보다 의병활동이 왕성했다. 일제강점기에는 박상진 선생 등이 나서 애국충절의 열의를 온몸으로 실천한 열사들의 고장이다. 병영 만세운동은 지역에서 일어난 항일독립 운동의 시금석이 됐다. 울산에서 삼일절은 그래서 더욱 의미가 깊다. 아직도 제대로 된 사과를 받지 못한 위안부 희생자나 강제징용 희생자들의 문제는 여전히 용서되지 못한 역사로 남아 있다. 

이번 삼일절은 그래서 우리에게 더 많은 책임을 요구한다. 여전히 과거사는 한일관계에 발목을 잡고 있고 일본의 정치지도자들은 진정성을 담은 사과에 관심이 없다. 오히려 뻔뻔한 역사의식과 안하무인 격인 태도로 우리 선조들을 두 번 세 번 죽이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스스로 당당하게 일본 제국주의 망령과 싸워나가야 한다는 결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120만 시민이 릴레이로 읽어가는 독립선언서가 올해 삼일절에는 시청 광장부터 울산대공원을 돌아 남창과 언양, 병영을 지나 대왕암 열린 동해로 목청껏 떨쳐 울리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