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 문화재자료 제11호 학성 이씨 현령공파 절송공묘 출토 유물.
울산시 문화재자료 제11호 학성 이씨 현령공파 절송공묘 출토 유물.

학성 이씨(鶴城 李氏)는 울산 학성동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다. 학성 이씨 뿌리가 깃든 울산에는 이와 관련된 출토유물과 고택 등이 곳곳에 남아있다.

국가민속문화재 제37호 '학성 이천기 일가묘 출토복식'도 그 중 하나다.

학성 이천기 일가 묘 출토복식은 조선 중기 봉직랑을 지낸 이천기(李天機, 1610~1666) 묘와 그의 부인 흥려 박 씨의 묘, 그리고 셋째 아들인 이지영(李之英)과 그의 부인 평해 황 씨의 부부 합장묘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이천기 묘 출토복식(2종 3점)은 광다회대 1점, 면포 솜소모자·명주 솜소모자 2점이다. 그의 부인 흥려 박 씨의 묘 출토복식(3종 3점)은 면포 솜장옷 1점, 옷감 1점, 면포 홑치마 1점이다.

셋째 아들 이지영 부부 합장묘 출토복식(3종 4점)은 난봉화문단 겹장옷 1점, 명주 솜누비치마 1점, 면포 솜버선 1쌍이다.

이 유품들은 1969년 여름 신정동 판교(현 학성고 자리)에서 학교 부지를 조성하면서 묘를 이장할 때 출토된 것이다.

울주 웅촌면 석천길 32-3에 위치한 '울산 학성 이씨 근재공고택' 7동 또한 학성 이씨 관련 문화재로 울산시 문화재자료 제3호에 지정돼 있다.

이 고택은 임란공신 이겸익(李謙益)의 후손인 근재공(謹齋公) 이의창(李宜昌, 1725~1781년)이 1765년(영조 41)에 웅촌면 대대리에서 지금의 위치로 옮겨 세운 것이다.

조선 고종 때 한 차례 고치고, 1934년 안채와 사랑채 등이 대대적으로 중수됐다. 현재 건물은 사랑채, 안채, 사당, 아래채, 중문간 및 곳간채, 외양간, 대문간채 등이 남아있다.

사랑채와 안채 사이가 중문과 담으로 뚜렷이 나눠져 있으며, 사랑채 앞으로 행랑채와 행랑마당을 둔 조선 후기 부농형 상류주택 특징을 잘 보여준다.

국가민속문화재 제37호 '학성 이천기 일가묘 출토복식' 중 면포솜장옷.
국가민속문화재 제37호 '학성 이천기 일가묘 출토복식' 중 면포솜장옷.

안채 뒤에는 별도로 담을 두른 사당이 있고, 안채와 사랑채에서 조산인 벼락띵이산(일명 병풍산)이 보이도록 했다. 사랑채는 툇마루를 둔 정면 3칸의 홑집이다. 안채는 오량가구 위에 팔작지붕을 얹은 정면 6칸, 측면 1.5칸의 비교적 큰 건물로, 개인 집에서는 잘 쓰지 않던 둥근 기둥을 전면에 뒀다.

온양읍 남창리의 3·1운동을 주도한 이재락도 이곳에서 살았으며, 울산 유림들의 독립자금 모금 활동의 현장이라고도 할 수 있다.

울산시 문화재자료 제11호 '학성 이씨 현령공파 절송공묘 출토유물 일괄'에서도 학성 이씨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이 출토 유물은 학성 이씨 현령공파로 어모장군 용양위좌부장을 지낸 절송공 이충립(李忠立: 1582~1665)의 묘에서 나온 것이다.

이충립의 묘는 본래 울산 남구 부곡동 한터마을 어귀에 위치했다. 그러나 이 지역이 울산 정유공장 부지로 편입됨에 따라 1988년에 묘를 옮기게 됐는데, 이 과정에서 유물들이 발견됐다.

발굴 당시에 시신은 미라 상태로 있었고, 유물들도 350년 이상 땅 속에 묻혀 있었던 것이라고 믿기지 않을 정도로 양호한 상태였다. 출토된 유물은 명정, 도아, 부채, 귀이개, 얼레빗, 참빗, 장도, 갓솔, 구의 등이다. 이 유물들은 17세기 전기 양반들의 복식 및 장신구 등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