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학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울산의 고등교육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송철호 시장이 공약한 '울산형 열린 시립대학'은 지역 고교생들의 진학에는 별 도움이 안 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가 전국의 대학을 줄이는 상황에서 신규 대학설립인가를 받기 어려운 점을 고려해 일반 정규대학이 아닌 '비학위제' 형태의 대학을 설립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기 때문이다.

# "AI·빅데이터 중심 직무교육 병행"
결국 울산형 시립대학을 나와도 정규대학 졸업을 인정받지 못하는 탓에 대입을 앞둔 고등학생들보다는 주부 등 경력단절자나 퇴직자 등 기성세대를 위한 '평생대학'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시 행정지원국도 지난 18일 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에 대한 올해 주요업무보고에서도 앞으로 설립할 '울산형 열린 시립대학'이 교육부의 인정을 받지 못하는 비정규 대학이라는 사실을 인정했다. 행정지원국은 행자위 업무보고에서 "시립대학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울산형 미래인재 양성을 목표로, 연령에 상관없이 시민 누구나 입학이 가능한 형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시립대학에선 온·오프라인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AI, 빅데이터 중심의 직무교육과 평생교육을 병행하는 교육모델이 검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물론 시는 "설립 초기에는 개방형 평생대학 형태가 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정규 대학기관으로 인정받는 명실상부한 시립대학으로 성장시켜 나갈 것"이라고 발전 구상을 내놓았다.

시는 이와 함께 시립대학 설립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 올 1월 행정지원국 인재교육과에 전담조직인 '대학설립팀'을 신설해 외국대학이나 정부 연계사업 등의 유치활동 준비 중이며, 대학 설립 중장기 로드맵과 단계별 추진 계획 수립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대학설립팀 관계자는 "울산형 열린 시립대학은 궁극적으로 세계적 혁신 대학으로 주목받고 있는 미국 '미네르바 스쿨'이나 프랑스 '에꼴42'를 모델로 삼고 있다"며 "현재의 대학 규제 여건에선 이들 선진 대학과 같은 성과를 내기는 어렵지만, 앞으로 관련 법제도 개혁이 뒷받침되면 발전 가능성을 충분하다"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하지만 이르면 올해부터 취업연계형 시범 강좌를 도입하고, 늦어도 2022년까지 설립 완료 계획인 울산형 시립대학이 일정 수준 지역 고교생 역외 유출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 송 시장 공약 불구 대학 성격 논란 자초
무엇보다 대학 설립 주체인 시가 직업교육과 평생교육을 혼합하는 교육 모델을 제시하면서 대학 성격에 대한 논란과 혼선을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시의회 행자위에서도 이 문제가 집중 거론됐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손종학 의원은 "울산형 시립대학은 시장 공약이면서 시민 기대가 큰 사업이지만, 설립하고자 하는 대학의 유형이 학위를 주는 대학인지, 단순히 평생교육원인지 모호하다"고 꼬집었다.

손 의원은 또 "지난해 울산의 고교 졸업생이 1만 5,000명 정도인데, 울산에 진학한 학생은 6,000명에 불과해 대학이 부족한 상황이므로 대학 진학이나 취업을 위해 외지로 빠져나가는 인구가 많은 만큼 시립대학 설립이 필요하다"며 정규형 대학 설립을 요구했다.

같은 당 윤덕권 의원도 "시립대학에 대한 논란이 많다"며 "정규대학인지, 평생교육원인지 분명히 해야 시민들의 혼란을 막을 수 있다"며 제대로 된 방향 설립을 주문했다.

그러나 시의회 행자위가 지난 연말 예산안 심사 때 시립대학 설립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올해 당초예산에 반영했던 용역비 1억 원을 전액 삭감해 놓고 이제 와서 시립대학 설립 방향성을 나무라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의정 활동이란 지적이다.       최성환기자 csh@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