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의 관광산업을 제대로 구현해 가기 위한 대책들이 쏟아지고 있다. 울산시는 관광산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구성도 밝히고 있다. 거쳐 가는 관광지가 아니라 체류형 관광을 위해 여러 가지 복안도 내놨다. 하지만 체류형 관광은 이미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울산시가 그동안 체류형 관광을 위한 공격적인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산업관광과 역사문화관광을 접목하는 관광도시를 외쳤지만 모두가 공허한 이야기가 됐다. 이같은 사실은 지난해 조사한 통계에서도 잘 드러난다. 울산을 찾는 관광객은 주로 친구나 가족끼리 와서 당일 여행으로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시가 지난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울산 관광경험은 '처음'이 79.3%였고, '친구와 함께'(41.7%), '가족과 함께'(35.7%), '연인끼리'(11.0%) 순서였다. '혼자서', '친지와 함께', '직장동료와 함께'는 각 3.7%를 차지했다. 

체류 기간은 '당일'이 76.3%로 가장 많았고, '1박 2일'은 19.3%, '2박 3일'은 3.7%였다. 숙박의 경우 장소는 여관·모텔(59.2%), 비즈니스호텔(21%), 친구·친지 집(7.0%), 5성급 호텔·콘도·펜션(각 5.6%)의 비율을 각각 차지했다. 체류형 관광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것(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는 야간개장 연장 4.59점, 야간체험프로그램 운영 4.53점, 야간 볼거리 다양화 4.48점 등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지금까지 울산시가 벌여온 체류형 관광에 대한 개념을 완전히 바꿔야 할 계기가 된다.

문제의 핵심은 울산이 과연 체류형 관광을 정착할만한 매력적인 관광지인가에 있다. 무엇보다 관광객들이 울산에 머물게 할 인프라가 없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울산시가 강동지구와 영남알프스의 케이블카 사업에 보다 분명한 입장을 보여야 한다는 점은 더욱 비중이 커졌다. 

최근 울산시는 케이블카 대상지와 강동지구를 토지거래 허가구역의 재지정했다. 울산시의 이번 결정으로 영남알프스 케이블카와 강동지구 관광단지에 대한 기대감은 더 높아졌다. 문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이 아니라 이들 지구에 대한 조속한 투자 결정이다.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사업은 한다 안 한다를 반복하며 갈팡질팡해온 대표적인 우유부단 행정의 사례다.

민선 7기 시작 전까지만 해도 울산시와 울주군은 관광도시를 위한 마중물이 케이블카 사업이라며 착공에 속도를 붙일 것처럼 이야기했지만 여전히 모호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정부는 지역경제와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케이블카 신규 사업의 추진 속도를 높이는 방안을 추진하는 있는 상황이다. 앞으로 승인 절차를 간소화한 '케이블카 안전대책'이 골자다. 그동안 신규 케이블카 사업을 하려면 지방자치단체와 여러 관계 부처에 개별적으로 신청하고 승인을 받아야 하는 탓에 큰 부담이 됐다. 앞으로는 사업자가 지자체에 승인 신청을 하는 것만으로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정부가 케이블카에 주목하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 국토의 64%가 산지여서 케이블카 산업이 발전하기 좋은 환경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산악 관광이 대부분 등산 위주여서 부가가치 창출이 미약했기 때문이다. 전국의 케이블카 수는 총 155기로, 현재 34곳에서 신규 케이블카 사업을 추진 중이거나 검토 중이다. 

문제는 케이블카 사업을 두고 여전히 찬반 논쟁 중이어서 본안 마련까지는 진통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는 데 있다. 여론 악화 등으로 케이블카 사업은 지난 7월 상부 도착지점이 신불산 서북쪽에서 간월재 동쪽으로 변경됐다. 복합웰컴센터~간월재 동쪽 1.85㎞인 이 노선은 생태 축 훼손과 백두대간 정맥 가이드라인 위배 논란에 따라 환경부와 환경단체 등의 의견이 종합 반영됐다. 관광울산의 핵심사업으로 케이블카가 지목되는 이유다. 반대여론을 설득하고 울산관광의 랜드마크로 만들 수 있는 절차적 모색에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 될 시점이다.

강동 리조트 사업도 마찬가지다. 이 사업은 북구 정자동 10만 8,985㎡ 부지에 3,100억 원을 투입, 지하 2층 지상 13층 규모로 콘도(객실 294실), 컨벤션, 실내·외 워터파크, 오토캠핑장, 복합상가 등을 유치하는 사업이다. 

롯데건설이 지난 2007년 2월 공사에 착공했지만 공정 37% 상태인 2009년 6월 공사가 중단됐다. 롯데 측은 공사 중단 7년여 만인 지난해 3월 공사를 재개했지만 불과 3개월 만인 6월에 공사는 또다시 중단됐다. 

울산이 장기간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롯데 측이 조속히 계획을 확정·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업지연이 장기화 될수록 지역 경제 전반에 미치는 악영향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울산시는 이 두 사업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혀 침체된 지역 경제에 활로를 찾을 수 있도록 결단을 내려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