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주 월성(사적 제16호) 해자에서 1,600년 전 무렵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나무 방패 2점이 나왔다.
2015년부터 월성을 발굴조사 중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성벽에서 제물로 묻은 인골이 발견돼 화제를 모은 서쪽 A지구와 이에 동쪽으로 인접한 B지구 북쪽 1호 수혈해자 최하부층에서 실물이 거의 남지 않은 고대 방패 2점을 찾아냈다고 2일 밝혔다.


방패 제작 시기는 모두 340년부터 410년대 사이로 분석됐다. 5세기 방패는 경북 경산 임당동에서 출토된 적이 있으나, 월성 유물이 더 온전한 형태를 갖췄다.
방패 중 한 점에는 손잡이가 달렸는데, 연구소는 손잡이가 있는 고대 방패가 발견되기는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일본에서는 고대 방패가 다수 출토됐는데, 실로 엮기 위한 구멍과 기하학적 문양이 월성 방패와 비슷하다"며 "방패가 한일 문화 교류사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월성 수혈해자 최하층에서는 나무 방패와 제작 시기가 거의 동일한 것으로 추정되는 목제 배 모형도 출토됐다.
의례용으로 보이는 이 배 모형은 길이가 약 40㎝다. 국내에서 확인된 동종 유물 중에서 가장 오래됐고, 실제 배처럼 선수와 선미를 정교하게 표현했다.


연구소는 조사를 통해 월성 해자 본래 모습과 신라인 식생활을 유추할 수 있는 단서도 확보했다.
월성 해자는 반달 형태인 월성 북쪽에 길게 띠 형태로 조성했는데, 4∼7세기에 사용한 구덩이 같은 수혈해자에서 통일 이후 돌을 쌓아 만든 정교한 석축(石築)해자로 변경됐다.


수혈해자는 흙이 유실되지 않도록 북쪽에 나무기둥과 판재를 이용해 목제 구조물을 세운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소는 고운체를 사용해 신라 씨앗과 열매 63종과 생후 6개월 안팎의 어린 멧돼지 뼈 26개체, 곰 뼈 15점도 찾았다.   강현주기자 uskhj@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