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구 문제에서 울산이 위기에 직면했다. 120만을 찍고 150만을 계획하던 인구 규모가 어느새 110만도 위태로운 상황이 되고 있다. 사람들이 떠나고 실업자가 넘쳐난다. 주력산업이 중심을 잃고 첨단산업은 갈 길이 멀다. 울산의 위기는 단순한 한 도시의 위기가 아니다. 대한민국 경제 심장의 위기다. 그래서 지금의 울산 상황은 대한민국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울산 인구 순이동률(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은 -0.9%로 서울(-1.4%)에 이어 전국에 두 번째로 높다. 탈울산은 2015년 12월부터 시작해 3년 넘게 이어지고 있다. 

실업자 증가도 예삿일이 아니다. 취업자가 줄고 실업자는 증가하는 등 고용쇼크는 장기화된지 오래다. 제조업을 포함한 광공업 취업자는 지난해 말까지 32개월 연속 감소했다. 출생아 수도 계속 감소해 인구 절벽의 속도가 숨 가쁘게 빨라지고 있다. 울산 가구수도 오는 2037년부터 급격하게 줄어든다는 전망도 나와 있다. 2045년이 되면 울산에서 1인 가구는 전체 30%를 웃돌면서 보편적인 삶의 형태가 될 전망이라는 보고서도 나왔다.

우리나라의 인구 사정은 더 심각해 보인다. 통계청의 분석을 통해 그려본 100년 뒤 한국의 모습은 참혹하다. 통계청은 '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년'에서 100년 추계 통계표를 부록으로 첨부했다. 이에 따르면 2117년 우리나라 인구는 100년 전인 2017년(5,136만 명)보다 3,055만 명이 줄어든 2,082만 명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현재 인구 3명 중 2명(59.5%)이 사라진다고 보면 된다. 

앞서 2016년 발표한 장래인구추계에서는 2115년 인구가 2,582만 명 수준으로 예측됐는데 불과 3년 만에 추계치가 500만 명 줄어든 것이다. 2,000만 명 수준은 남북이 하나였던 1930년대와 비슷한 인구규모다. 일제강점기였던 당시 우리 인구는 2,043만 명이었다.

연령계층별 인구 구성을 보면 2117년 생산연령인구(15~64세)와 고령인구(65세 이상)의 비중은 각각 45.7%(951만 7,000명)와 45.3%(946만 1,000명)를 차지한다. 유소년인구는 8.8%로 184만 명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국가 생산활동의 '엔진'인 생산연령인구가 50년 뒤 현재의 절반 아래로 줄어들 것이라는 정부 전망이 나왔다. 50년 뒤에는 노동자 1명이 고령인구 여럿을 부양해야 하는 시대가 도래한다. 이러한 '인구절벽' 가속화는 고용과 생산, 소비, 투자 등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쳐 경제 활력을 발목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생산연령인구가 더 빨리 줄어든다는 의미는 65세 이상 고령인구 증가세도 그만큼 빨라진다는 의미다. 통계청은 고령인구가 2017년 707만 명에서 2025년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넘어서고, 2050년에는 1,901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고령인구 구성비는 2017년 13.8%에서 2025년 20%, 2036년 30%, 2051년 40%를 각각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85세 이상 초고령 인구는 2017년 60만 명에서 2024년 100만 명을 넘고, 2067년에는 512만 명을 기록할 것으로 통계청은 예상했다. 2017년에서 2067년까지 8.6배 증가한다는 의미다. 

반면 어린 세대 인구는 감소한다. 유소년인구(0∼14세)는 2017년 672만 명(13.1%)에서 2030년 500만 명(9.6%), 2067년 318만 명(8.1%)까지 계속 감소한다. 학령인구(6∼21세)도 2017년 846만 명에서 2067년 363만 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통계청은 예상했다. 특히 대학진학 대상인 18세 인구는 2017년 61만 명에서 2030년 46만 명으로 76% 감소할 전망이다.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하고 고령인구가 늘어나면 노동자 한 사람이 부양해야 하는 사람 수도 자연스레 더 늘어나게 된다.

인구 문제는 곧바로 도시안정성과 직결된다. 탈울산과 저출산 고령화 사회는 도시가 성장을 멈추고 쇠퇴한다는 의미다. 울산을 살고 싶은 도시, 사람이 모여드는 도시로 만들 새로운 정책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출산 대책도 중요하지만 은퇴자들이 울산을 떠나지 않도록 만드는 일이 더 중요하다. 은퇴자들은 재취업과 전직 등 소득을 유지하는데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울산시는 재취업·전직 지원, 창업 지원, 여성일자리 활성화, 사회공헌활동 지원을 통해 소득절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방안을 찾고 있다. 귀농귀촌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보다 구체적인 지원을 하는 부분도 이같은 사안을 고려한 조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실질적인 정책이다. 인구감소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당장 마련해야 한다. 인구유출이 고착화되면 돌이킬 수 없는 사태가 된다. 때늦은 후회로 더 이상의 출구가 없게 되기 전에 대책을 세워야 한다. 울산시의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