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첫 원전해체연구소를 결국 울산과 부산이 공동으로 유치하면서 지역 관련 산업의 성장에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특히 울산의 경우 플랜트, 정밀화학, 환경복원 등 국내 최고 인프라를 보유해 해체 관련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쉽고 원전 해체기술 연구를 바로 실증화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갖추고 있다. UNIST, 한국전력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KINGS) 등 관련 교육·연구기관이 있고, 시설에서 발생하는 거대 고하중 설비를 옮길 수 있는 해상과 육상의 접근성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다.


 총 2,400억원이 투입되는 원전해체연구소 건립을 위해 내주 산업통상자원부, 부산시, 울산시가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예정이다.
 연구소는 2022년 완공을 목표로 2020년부터 공사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과 울산의 접경지역인 울산 울주군 서생면과 부산 기장군 장안읍에 걸친 신고리 7·8호기(미정) 예정부지와 접한 태양열 발전 설비 인근으로 입지가 결정된 가운데 이곳은 영구정지된 고리 1호기와 가깝고 원전해체 연구를 위한 산학연 인프라가 잘 갖춰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곳에 원전해체 연구소가 설립되면 연관산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게 울산과 부산의 입장이다.
 원전해체는 원자력뿐만 아니라 기계, 로봇, 화학 등 종합엔지니어링 및 융합산업이다. 가죽·가방 등 일반 제조업에서부터 1차 금속, 정밀 과학기기 등 다양한 산업 분야 협력이 필수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원전해체에 필요한 핵심 기반 기술 가운데 현재 17개 기술만 확보돼 있고 해체 준비와 제염, 폐기물 처리, 환경복원 분야에 걸쳐 21개 기술은 여전히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전해체연구소는 관련 기업체와 대학, 연구소 등과 함께 아직 확보하지 못한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해체작업에 적용하는 역할을 한다.
 원전 1기를 해체하는 데 드는 비용은 고리 1호기를 기준으로 볼 때 7,515억원에 달한다.
 해체는 15년에 걸친 장기 프로젝트다.
 원전 1기를 해체하면 1조3,976억원의 생산유발 효과가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연관산업 효과가 그만큼 막대하다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 가동 중인 원전은 모두 24기로 이 가운데 12기 수명이 2030년에 끝난다. 수명이 끝나는 원전을 해체하는데 드는 비용은 10조원이 넘는다.
 국내 시장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도 급성장세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1960∼1980년대 건설한 원전의 사용기한이 임박함에 따라 해체해야 하는 원전이 2020년대 183기, 2030년대 이후 216기에 달하는 등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원전 가동을 연장하는 등 변수를 고려하더라도 원전해체가 2050년 이후까지 계속되면 440조원(2014년 기준가) 규모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추산된다.


 이 때문에 원전해체연구소는 침체한 지역 경제를 살리고 경제 분야 동남권 상생 협력을 이끌 수 있는 거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지혁기자 uskjh@ulsanpress.net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