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12일 한미정상회담을 마무리하고 돌아온 문재인 대통령이 북미 간 중재를 위해 대북특사 파견을 검토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3차 북미정상회담의 사전 수순으로서 남북간 대화를 강조하고 이를 통해 비핵화 해법에 관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의중을 확인하고 싶다는 입장을 표명한데 따른 것이다. 문 대통령이 북미대화의 '촉진자' 역할에 나선만큼 다음 수가 절실한 상황이다.

청와대는 지난 13일 한미정상회담 결과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시정연설 메시지를 놓고 대북특사 파견 계획 등을 포함해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전날(12일) 열린 최고인민회의 2일차 회의에 참석해 "미국이 올바른 자세를 가지고 우리와 공유할 방법론을 찾은 조건에서 제3차 조미(북미)수뇌 회담을 하자고 하면 한 번은 더 해볼 용의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대북특사로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가장 유력해 보인다. 두 사람은 지난해 3월과 9월에 각각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앞두고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윤건영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과 특사로 북한을 다녀온 바 있다. 북한과 이뤄지는 대화의 연속성 등을 고려하면 이번에도 동일한 멤버가 문 대통령의 메시지를 들고 북한을 향할 것이라는 이야기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특사로 파견될 수 있다는  한 언론매체의 보도도 나왔지만  청와대는 '결정된 것이 없다'고 설명했다.

특사를 언제 파견할지도 관심사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입장을 '가능한 한 조속히 알려달라'고 한 만큼 비교적 이른 시기에 특사를 보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청와대는 16∼23일 문 대통령이 투르크메니스탄을 비롯해 중앙아시아 3개국을 방문하는 기간에도 정 실장 등이 평양을 방문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문 대통령은 특사 파견을 통해 한미정상회담에서 확인한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을 전하는 한편, 북한을 재차 비핵화 대화 테이블로 나오라고 설득할 것으로 예상된다. 청와대가 제시할 수 있는 안으로는 '포괄적 합의와 단계적 이행' 원칙에 입각한 영변 핵시설 폐기나 풍계리 핵실험장 검증 등 연속적인 '굿 이너프 딜'(충분히 괜찮은 딜) 등이 거론된다.  서울=조원호 기자 uscwh@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