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강길부 의원(울산 울주·사진)은 15일 산업부의 원전해체 산업 육성 전략에 포함된 '원전해체연구소'의 울산·부산 지역 설립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논의는 2012년 당시 교육과학기술부가 '원자력시설 해체 핵심 기반기술 개발계획'에 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설립안을 포함하면서 시작됐다.

총 사업비 1,473억원의 한국원자력연구원 산하 센터 형태로 기관 설립이 추진됐는데, 울산과 부산, 경주 등 8개 지자체가 유치 경쟁을 벌이는 등 과열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2016년 8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산업계 참여가 미흡하고 경제성이 저조하다는 이유로 '타당성 없음'으로 결론이 나면서 한차례 백지화되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이후 지자체와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설립 요구가 지속됐고, 2017년 6월 문재인 대통령이 고리 원전 1호기 영구정지 기념식서 동남권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을 공언하면서 다시 추진됐다.

산업부 주도로 용역이 시작되고, 다양한 논의와 검토를 거쳐 최종적으로 원전해체연구소는 울산·부산에 유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앞으로 설립될 원전해체연구소는 울산 울주군 서생면과 부산 기장군 장안읍 경계 약 1만 1,000평에 총 사업비 2,400억원을 들여 건설되며, 2020년 실시설계에 들어가 2023년 완공될 예정이다.
연구소는 기술개발과 인력양성, 기업지원, 국제협력 등의 기능을 맡게 되며, 조직·예산의 자율성을 가진 별도 독립 법인으로 인력은 80명에서 120명으로 단계적으로 확대된다.

컨설팅기업 딜로이트의 '세계 원전해체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49년까지 190개의 원전을 해체하는데 185조원, 2050년 이후에는 182조원 등 총 440조원 규모의 세계 원전해체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의 원전해체산업 시장 규모는 산업부가 추산한 고리 1호기 해체비용 7,515억원을 포함해 약 14조원이다.
한편, 우리나라는 현재 원전해체 단계별 필수 58개 상용화 기술 중 보유하지 못한 13개 기술을 2021년까지 자체 개발해 확보할 예정이다.

강 의원은 그동안 울산시와 울주군 등 지자체와 협력해 원전해체연구소가 지역에 유치될 수 있도록 힘 써왔다. 특히, 국회 산업위에서 국정감사, 업무보고 장관 질의응답 및 수시로 담당 국장 면담 등을 통해 추진 현황을 파악하고, 울산 유치가 관철될 수 있도록 노력했다.
강 의원은 "원전해체연구소 유치를 계기로 약 400조원에 달하는 원전해체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정부, 울산시와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며 "원전해체기술 고도화로 울산을 넘어 대한민국의 미래먹거리 산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전문기술 자립화, 전문인력 양성, 기반 구축 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성환기자 csh@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