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과 부산이 공동으로 유치한 원전해체연구소의 설립 방안과 구체적인 육성 전략이 윤곽을 드러냈다. 울산의 경우 에너지융합산단의 장점을 적극 활용해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기업집적 및 생태계 활성화 방안이 추진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경제활력대책회의를 갖고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방안을 포함한 원전해체산업 육성 전략(안)을 발표했다. 2020년대 중반 이후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원전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고리 1호기 해체를 통해 기술 역량을 축적, 산업 생태계 창출의 기회로 삼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건설과 운영 등 기존 선행 주기에 해체와 폐기물 관리 등 후행 주기 분야까지 더해 원전산업 전 주기 경쟁력을 확보하고, 원전기업의 새로운 먹거리 창출로 지역의 경제활력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원전해체연구소는 원전해체 산업육성 및 원전 중소기업 지원의 핵심 인프라로, 부산·울산(본원), 경주(중수로해체기술원)에 설립을 추진한다.
원전해체산업의 육성 전략으로 산업부는 아직 원전해체가 본격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국내외 해체시장 확대에 대비해 생태계 창출 및 산업역량 확충이 필요하다고 보고 초기시장 창출 및 인프라 구축, 원전해체 전문 강소기업 육성, 단계적 글로벌시장 진출 지원, 제도기반 구축 등 4대 중점전략을 추진한다.

본격 원전해체 시작 전인 2022년까지 해체 물량 조기 발주, 상용화 R&D 등 민·관 합동으로 대규모 선제 투자를 추진한다. 고리 1호기 해체 착수 이전이라도 원전기업의 초기일감을 창출하고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원전해체 사업을 세분화해 해체 준비 시설 등 가능한 부분부터 조기발주에 착수할 예정이다.

원전해체연구소를 신속하게 설립하고 과기정통부 등 관계부처 및 관련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기술 고도화·상용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적극 추진하는 한편, 폐기물 저감·안전관리를 위한 기술개발, 고부가 핵심장비 개발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원전기업이 해체 분야로 사업을 전환해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생태계 기반, 인력, 금융 등 종합 지원도 추진한다.

지역과 협력해 인근 산업단지 등을 중심으로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기업집적 및 생태계 활성화를 추진하는데 울산의 경우 에너지융합 일반산단이 지역별 집적지로 꼽혔다. 기존 원전인력을 해체수요에 맞게 단계적 전환을 유도하는 등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금융 지원 확대도 병행해나갈 예정이다.

해체 실적이 중요시되는 해체시장 특성상, 고리 1호기 실적을 토대로 3단계에 걸쳐 해외 진출도 모색한다. 고리 1호기 해체 진도에 맞춰 △해외 해체 원전 단위사업 수주(2020년대 중반) △원전 운영 경험 등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제3국에 선진국과 공동 진출(2020년대 후반) △제3국 단독 진출(2030년대 이후) 등 3단계에 걸쳐 단계적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서는 해외 선진기관과의 해체 관련 정보·인력 교류, 공동연구 등 협력 파트너십 강화가 필요하다. 산업부는 이번에 발표된 육성전략을 차질없이 추진해 2030년대 중반까지 세계시장 점유율 10%를 달성하고 원전해체시장 Top5 수준까지 발전시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김지혁기자 uskjh@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