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번 주 들어 울산에 대한 중앙 언론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경기 침체가 산업수도 울산을 집어삼키고 있다는 내용이다. 여기에 울산시장의 숨 가쁜 고군분투도 소개하고 있다. 바로 송철호 울산시장이 국내 대형 건설사에 손수 편지를 보낸 사실이 보도됐다. 

송 시장은 국내 대형건설사 260개 업체와 대기업 공장 12개 업체 대표(공장장)에게 지역건설업체 하도급 참여 확대 협조 등을 요청하는 서한문을 발송했다. 송 시장은 서한문에서 "울산에는 약 2,000여 개의 건설업체가 있으며, 건설업은 제조업이나 서비스업보다도 고용 및 생산유발효과가 높아 이와 연계된 지역의 실물 경제 또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시에서는 '지역건설산업 발전에 관한 조례'를 마련하는 등 다양한 지원책을 펼쳐 나가고 있지만,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어 안타깝기 그지없다"며 "대형건설공사 및 공장증설에 지역건설근로자, 지역 생산자재 및 장비를 우선 채용·사용해 주시고, 우수한 지역건설업체가 하도급 등 공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배려해 주길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울산시는 지난해 130개 현장을 대상으로 지역건설업체 하도급 비율을 24.9%까지 향상시켜 고용 창출 2,530명과 세수 증대 28억 원의 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올해의 경우 지역하도급 비율을 지난해보다 5% 상향된 30%로 정했다"며 "목표 달성을 위해 대형건설공사 현장 및 본사 방문, 공사 관계자 간담회 개최, 상생 협약서를 체결하는 등 지역건설업체의 하도급 참여 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 시장의 지역경제 살리기 행보는 이미 올 초부터 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청와대를 찾아 지역경제 재도약을 위한 미래 먹거리사업을 적극 건의했다. 송 시장의 청와대 방문은 울산경제 재도약을 위해 국가 차원 전략적 지원이 필요한 정책과 '2030 세계 최고 수소도시 육성 전략' 등 중장기 사업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기도 하지만 지역 경제를 살리려는 광역단체의 절절한 현실이기도 하다.

송 시장은 당시 청와대 고위인사를 만나,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변화 대응, 2030 세계 최고 수소도시 구현 등 주요 현안에 대해 설명하고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를 요청했다. 특히,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강화와 기존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의 구조조정 가시화 등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산업이 급격한 패러다임 전환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울산 자동차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완성차와 부품업체 간 생태계 및 우수한 물류인프라를 갖춘 울산에 전장부품 생산기지가 구축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특단의 대책을 촉구했다.

이같은 노력 덕분에 울산의 여러 지표들이 미미하지만 조금씩 회복세를 보이는 추세다. 한국은행 울산본부가 최근 내놓은 '울산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6년 저점을 기록한 지역 글로벌 선박 발주량이 노후선 교체시기 도래와 내년으로 예정된 선박 환경규제 등으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실제 현대중공업은 올들어 지난 2월까지 6,000억 원 규모의 LNG선과 VLCC(초대형원유운반선) 등을 수주한 바 있다. 현대중공업도 이를 내다보고 2020년까지 VOC(휘발성유기화합물)저감장치, 소재자동화라인 등 대형선박 생산중심의 설비변경과 관련한 5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하기로 했다. 조선업계의 반등은 바닥권까지 추락한 지역경기도 소폭 끌어올리고 있다. 

한국은행이 15개 지역본부의 권역별 1분기 경제 동향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담은 '지역경제 보고서'(2019년 3월호)에 따르면 1분기 생산이 동남권에서만 소폭 개선됐다. 다른 지역의 경우 제주권은 소폭 악화했고,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대경권, 강원권은 보합 수준을 나타냈다. 조선업이 이처럼 수주잔량을 늘려가며 경기 개선을 이끌고 있지만, 당분간 업계의 실적 회복을 기대하기는 여전히 힘들 것으로 전망됐다. 

울산시는 이같은 흐름을 제대로 실적 반등으로 이끌기 위해 2019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조기 편성하는 등 발빠른 행보를 보이는 중이다. 올해 제1회 추가경정예산은 지방소비세율 인상과 지방교부세 추가 확보에 따른 재원을 활용해 경기 활성화를 위한 일자리 창출 위주의 사업에 중점을 뒀다. 

5개 구·군도 시의 추경예산안을 바탕으로 추경예산을 편성하고 재정 신속집행 등을 통해 되살아나고 있는 울산 경기 활성화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울산시의 추경에는 무엇보다 일자리 사업 등에 집중됐다. 주력산업 우수기술인력양성 지원사업 10억 원,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8억 원, 청년 CEO육성사업 8억 원, 노인일 자리사업 53억 원, 해운선사 청년 일자리 지원사업 5억 원 등 26개 사업에 113억 원을 편성해 3,353명의 직접 고용 창출에 나서고 있다. 

문제는 이같은 노력이 지역경제 회복에 어느 정도 결실을 보이느냐에 달려 있다. 지역 경제가 살아나야 사람들이 모여들고 도시가 활기에 차게 된다. 울산시의 지속적인 관심과 정책, 상공계의 분투가 이어지길 고대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