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UNIST를 포함한 과학기술원 4곳의 공동사무국이 출범하면서, 또다시 통합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4대 과학기술원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동사무국이 최근 KAIST에 설치되자, 향후 통합 운영을 위한 전 단계가 아니냐는 것이다.

13일 UNIST 등에 따르면, 지난 3월 체결한 UNIST(울산과학기술원)·GIST(광주과학기술원)·DGIST(대구과학기술원)·KAIST(한국과학기술원) 등 4개 과학기술원 업무협약에 따라 과기원 공동사무국을 KAIST 문지캠퍼스에 설치하고 각 과기원에서 파견된 행정원 4명과 사무국장 등 5명의 인원으로 이달부터 업무를 시작했다. UNIST에서도 대외홍보팀원 1명이 파견됐다.
공동사무국 사무국장은 KAIST 기획처장이 겸직하고 사무국 조직도 기획처 산하에 두기로 했다.
과학기술원 공동사무국은 대전·대구·광주·울산에 각각 설립된 과기원이 과학기술인재양성이라는 공통의 설립목적을 갖고 있으나 중복으로 인한 낭비 요소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4대 과기원 사이의 중복요소를 정비하고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4대 과학기술원(KAIST, GIST, DGIST, UNIST)간 공동사무국 설치로 과학기술원간 협력을 위한 조직을 만들어, 기관간 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국가 미래 인재양성을 위한 과학기술원의 역량을 한데 모으기 위한 취지다.
이에 따라 4대 과기원은 지난 3월 8일 '과학기술원 공동사무국 설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3월 28일 열린 KAIST 이사회에서 공동사무국 설치에 필요한 예산, 인력, 조직 구성 등을 승인한 바 있다. 이사회 상정안에 따르면 올해 예산은 5억8,000만원 규모로 4대 과기원이 분담한다.

공동사무국은 △과학기술원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발굴 및 제안 △공통의 현안사항에 대한 검토 및 조율 △연구시설 장비 등 자원의 공동활용 방안 추진 △연구 중복분야 검토 및 중점 추진분야 발굴 △기타 과학기술원의 발전을 위한 공통 협력사항 운영 등을 주요 업무로 한다.
공동사무국은 이 밖에도 연구목적기관으로서 공동의견을 제시하거나 과기원 혁신을 위한 법규정·제도·예산 등의 이슈를 함께 발굴하는 등 대외 정책에 보조를 맞추고 4차산업 혁명 필수 융합과목도 공동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이런 상황에서 사무국이 설치된 KAIST를 중심으로 UNIST, GIST, DGIST 등 4대 과기원이 하나로 통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우선은 '공동 사무국'을 만들어 운영하지만, 과기원들은 향후 4대 과기원을 하나로 통합되기 위한 수순으로 인식되는 것.

예컨대 UNIST는 KAIST 울산캠퍼스로, GIST는 KAIST 광주캠퍼스로, DGIST는 KAIST 대구경북캠퍼스로 전환되는 방식이다.
공동사무국의 출범이 과기원 통합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일부의 우려에 대해 과기원 관계자들은 "4대 과기원의 물리적 통합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기존 체계를 유지하면서도 선택과 집중을 통해 과기원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영기자 myidaho@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