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다시 스승의 날이 찾아왔다. 5월이 오면 스승을 이야기하고 교권을 이야기하지만 갈수록 떨어지는 교권은 이제 더 이상 추락할 곳이 없을 정도가 됐다. 울산시교육청은 교권 회복을 위해 다양한 사제교감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고 올해도 여러 가지 활동을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교권 회복의 길은 멀어 보인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교사들은 스스로 교사다운 교사를 어떻게 생각할까. 그 답은 학생을 믿어주고 잘 소통하는 교사라는 답이 우위에 있었다. 한국교총이 제38회 스승의 날을 맞아 지난달 29일부터 6일까지 전국 유·초·중·고·대학 교원 5493명을 대상으로 교원 인식 설문조사를 모바일로 진행했다. (95%신뢰수준 ±1.32%) 설문조사 결과 교원들은 제자와의 관계를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로서 가장 보람을 느끼는 순간으로 '제자들이 잘 따르고 인정해 줄 때(51.5%)'를 꼽았다. '제자들이 그 자체로 예쁘고 사랑스러울 때(35.6%)', '제자들이 성장하고 목표를 성취할 때(34%)'가 뒤를 이었다. '현재 교직생활에 만족하고 행복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그렇다'는 응답이 52.4%(대체로 그렇다 41.9%, 매우 그렇다 10.5%)로 나타나 '그렇지 않다'는 답변 21.5%(별로 그렇지 않다 15.3%, 전혀 그렇지 않다 6.2%)보다 높았다. 하지만 '다시 태어난다면 교직을 선택하겠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39.2%)와 '그렇지 않다'(37.6%)가 비슷한 수준이었다. 

스승의 날을 맞아 제자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로는 '널 믿어, 넌 할 수 있어(36.4%)', '사랑한다(29.3%)'를 꼽았다. 제자들에게 듣고 싶은 말은 전체 응답자의 49.5%가 '선생님, 감사합니다'라고 답했다. 

하지만 교원사기는 최근 10년 동안 급격히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2009년 진행된 교원 인식 설문조사에서 '교원들의 사기가 떨어졌다'고 답한 비율이 55.3%였다. 2010년 63.4%, 2012년에는 81%까지 높아졌다가 2015년 75%로 소폭 낮아졌지만 올해는 87.4%까지 떨어졌다. 10년 전보다 32.1%포인트나 높았다. 교원의 사기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부모 민원'과 '학생 생활지도의 어려움'을 이 가장 많았다. 

이번 조사 결과에서도 나타났지만 해가 갈수록 교권 추락의 문제는 갈수록 심각한 상황이 되는 추세다. 교권 침해는 해가 갈수록 늘어나 이미 교단에서 교사들의 사기를 저하시키는 주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 2년간 우리 교단에서는 교권침해 사례가 3배 이상 급증했다는 교과부의 보고도 나와 있다. 교권 침해는 학부모, 학생을 가리지 않고 발생한다. 교사들이 학생·학부모에게 수모를 당하는 일도 이제 특별한 사례가 아닐 정도가 됐다. 

교단의 상황이 이 정도니 교원들의 교직 만족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명예퇴직 교사가 해마다 증가하는 것도 당연하다. 경험 있는 교사가 학교를 떠나는 것은 교육의 질을 저하시키고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학습권을 침해해 피해는 학부모와 학생들이 입게 된다. 

그동안 학생인권조례 제정 등 학생들의 교육권이 신장돼온 것에 비해 교권은 상대적으로 보호받지 못해 온 것이 사실이다. 교권이 바로 설 때 교육이 제자리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은 교육학자들의 공통된 견해다. 프로그램 운영도 그 노력의 하나라고 본다. 중요한 것은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아니라 교단의 확고한 자리매김에 있다. 교사는 교사답게 학생은 학생답게 학부모는 학부모다운 교단 풍토가 자리를 잡아야 교권의 자리매김도 확실하게 된다. 보다 내실화된 교권 신장 방안이 만들어지길 기대한다.

문제는 교권의 추락에 학부모들의 역할이 상당 부분 자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학부모에 의한 교권 침해 건수가 점차 늘고 있다는 점은 우리 교육에서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상황이다. 여기에다 현행법상 '교육 공무원'이 아닌 '민간 근로자'인 기간제 교사의 수가 늘고 있는 점도 교육 당국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다. 실제 현장에서는 기간제 교사에 대한 교권 침해 사례가 정규 교원에 비해 높은 실정이다. 스승의 날을 맞아 교육에 관한 우울한 소식이 전해지는 것은 우리 사회의 미래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이야기다. 하지만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고 문제점을 바로 잡아가지 못한다면 교육의 미래는 더욱 암울할 수밖에 없다. 

교권이 바닥으로 추락하면서 교실에서 학생 지도를 포기하는 교사도 적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타이르는 교사에게 학생은 반발하기 일쑤고, 자칫 손찌검이라도 했다가는 교사만 온갖 덤터기를 뒤집어쓰는 것이 오늘의 교단이다. 그러다 보니 교직에 자부심은커녕 자괴감만 들고, 연륜이 오랜 교사일수록 몸을 사리며 교단을 떠나고 싶어 한다고 한다. 교권 추락을 더 이상 방관해선 안 된다. 학교 측은 가해 학생을 학칙에 따라 엄격하게 징계하고, 교권을 침해하는 학부모에 대해서는 사법기관이 가차 없이 처벌해야 한다. 정부 차원의 교원 보호 방안도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