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가 2019년 국가안전대진단을 모두 마무리했다는 소식이다. 울산시는 지난 2월 18일부터 4월 19일까지 민간전문가와 공무원, 시민 등 3,5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국가안전대진단에 나서 건축, 환경·에너지 등 7개 분야 총 3,264곳의 안전진단을 끝냈다고 밝혔다. 

올해 국가안전대진단은 위험시설 합동점검, 점검의 책임성 강화, 대진단 전 과정에 시민 참여 확대, 자율점검 실천안전문화운동 전개에 초점을 맞춰 중점 추진했다. 점검 결과 모두 631곳의 결함이 지적됐다고 한다. 소화전 앞 물건 적치, 소화기 사용 연한 경과, 배수로 정비 상태 불량 등 경미한 사항 264건은 현장에서 바로 시정했다. 또 벽체 균열·손상, 철근 노출, 낙석방지책 훼손, 포장 파손 등 367건은 보수·보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수·보강 대상 시설 중 자체 예산을 들여 바로 조치할 수 있는 지적사항은 167건으로, 이 중 106건은 조치가 끝났다. 나머지 예산 확보 등이 필요한 시설은 올해 보수·보강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울산시는 국가안전대진단 기간 위험시설 합동점검 외에 민간시설 자율점검 실천 운동도 벌였다. 시민이 일반·공동주택, 다중이용시설에 대해 스스로 안전점검을 할 수 있도록 자율점검표 48만 부를 나눠주고 안전 홍보 활동 등으로 시민 안전 의식을 높였다. 

하지만 이같은 점검에도 불구하고 우리 주변에는 너무나 많은 재난 위험 요소가 도사리고 있다. 특히 최근 잦아지고 잇는 지진이나 집중호우, 태풍 등 자연재해는 기후변화와 함게 우리에게 불안 요인이 되고 있다. 

한반도의 기후 변화가 예사롭지 않다는 것은 이미 오래된 이야기다. 몇 해 전부터 여름철이면 울산 지역은 마치 아열대 지역을 방불케 하는 기습 호우와 습한 기후로 시민들의 일상을 불편하게 했다. 최근 몇 년간 울산지역의 여름 기후는 이상기후의 전형이었다. 19년 만의 최고 기온을 기록하는가 하면 연일 폭염주의보가 이어지고 열대야 일수도 크게 늘어났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울산지역 평균 기온이 오는 2100년대가 되면 17.32도에 이를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와 있다. 먼 이야기 같지만 이 같은 전망이 사실이라면 심각한 문제가 따른다. 기후 변화는 해마다 체감지수가 민감할 정도로 우리 일상의 문제가 됐다. 2100년의 수치지만 이는 해마다 기온이 오르고 있고, 그에 따른 국지성 호우, 폭설 등이 동반되기 때문에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이야기다. 

최근 울산발전연구원이 울산지역 기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다. 이 결과에 따르면 울산지역의 평균 기온이 2000년대 13.06도에서 2050년대 15.5도, 2100년대 17.32도로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한다. 강수량은 2000년대 1,509.9㎜에서 2050년대 1,581.1㎜, 2100년대에는 1,651.2㎜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무엇보다 울산지역의 경우 기후 변화에 따른 대책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는 점이 문제다. 각종 재난·재해나 물 관리 문제 등 선제적인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다.

당장 울산지역의 경우 집중호우 증가세가 눈에 띤다. 울산지역에서 하루 60㎜ 이상의 비가 내린 경우는 1970년대 29일, 1980년대 34일, 1990년대 38일, 2000년대 42일로 증가했다고 한다. 또 하루 80㎜ 이상의 집중호우의 경우는 1970년대 14일, 1980년대 16일, 1990년대와 2000년대 각각 22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울산지역 기후 변화는 시민들이 체감할 정도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 울산이 태화강을 의지해 공업용수와 농업용수, 식음용수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폭우에 대한 대비는 보다 철저하게 해야 한다.

무엇보다 최근 잦아지는 울산지역 지진도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재난요소다. 2000년대 들어 동남 해안과 동해권에서 지진 발생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최근 들어 지진 빈도가 부쩍 늘어나는 것 역시 대형지진을 예감케 하는 전조가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원전 등 위험 시설물이 집중돼 있는 울산으로서는 더욱 촉각을 곤두세우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국민안전처도 울산 등 동해안 지역의 지진해일 피해 가능성에 대비한 안전망 구축을 강화하고 나섰다. 지진해일에 대비해 주민대피지구는 울산, 부산, 경북, 강원 4개 시도, 22개 시·군·구에 걸쳐 총 226곳이 지정돼 있다. 울산의 경우 남구 1곳, 동구 3곳, 북구 5곳, 울주군 6곳을 합쳐 모두 15곳이 주민대피지구로 지정돼 있다. 울산에는 또 긴급 상황에 대비해 남구 1개와 동구 8개, 북구 5개, 울주군 13개 등 모두 27곳에 경보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지진해일 주민대피지구에 대한 일제 점검도 수시로 실시해야 한다. 지진해일 안전 사각지대가 없는지 재점검하고, 긴급 대피소와 경보 시스템 등 현장 시설들도 꼼꼼히 확인, 지진해일 사전대비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 

울산의 경우 위로는 월성, 아래로는 고리 원전이라는 거대한 핵발전소가 들어서 있어 안전 시스템 마련이 어느 곳보다 중요한 지역이다. 시민들의 체감 정도는 낮은 편이지만 사실 울산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