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때 울산의 인구는 120만을 찍고 150만을 바라봤다. 도시계획도 150만을 기준으로 세웠다. 이제 그 시정은 옛이야기가 됐다. 3년 넘게 이어지는 울산의 인구 유출은 인구 규모를 어느새 110만도 위태로운 상황으로 내몰고 있다. 사람들이 떠나고 실업자가 넘쳐난다. 주력산업이 중심을 잃고 첨단산업은 갈 길이 멀다. 울산의 위기는 단순한 한 도시의 위기가 아니다. 대한민국 경제 심장의 위기다. 그래서 지금의 울산 상황은 대한민국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다.

울산의 인구감소 행렬이 3년 5개월째 이어졌다. 통계청이 발표한 '4월 국내인구이동'에 따르면 지난달 울산지역 총 전입은 1만 3,338명, 총전출은 1만 4,154명으로 816명이 순유출됐다. 총 전입은 유입된 인구를, 총전출은 빠져나간 인구를 말하며, 순 유출은 지역에 들어온 것보다 나간 인구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순 이동률은 -0.9%로 17개 시·도 가운데 대전(-1.0%)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탈울산 행렬은 2015년 12월(-80명)부터 시작해 2016년, 2017년과 지난해, 올해 4월까지 41개월 연속 순 유출됐다. 타 지역으로 일자리를 구하러 이동하는 경향이 인구 순 유출로 반영되면서 2015년 12월 이후 한 차례도 순 유입이 없었다. 다만 울산의 순유출 인구 규모는 소폭 축소됐다. 올해 들어 순유출 인구는 1월 1,065명, 2월 1,145명, 3월 1,186명 등 3개월 연속 1,000명 선을 넘어섰다가 4월 들어 1,000명 이하로 떨어졌다.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주는 수치는 바로 출산율이다. 인구 증감의 1차적 지표가 되는 출산율은 올들어 낙폭을 키우며 브레이크 없는 하락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 동향에 따르면 올 1분기(1~3월) 지역 출생아 수는 2,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0% 줄었다. 같은 기간 전국의 출생아 수는 8만 3,100명으로 지난해보다 7.6% 줄어든 것과 비교하면 큰 폭의 하락세다. 시도별로는 전북이 14.3% 하락하면서 전국에서 가장 큰 폭의 감소율을 보였고, 그다음이 울산이었다. 1분기 울산지역 혼인 건수도 1,40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7% 줄었다. 

울산의 출산율이 이 속도를 유지할 경우 올해 말에는 연간 출산율이 9,000명에도 미치지 못할 처지에 놓이게 된다. 지난해 사상 처음 1만 명 아래로 떨어지는 충격을 겪은 울산의 연간 출산율은 또다시 최저점을 경신할 기세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인 합계출산율은 3분기 울산의 합계출산율도 1.12명(전국 0.95명)으로 전년동분기보다는 -0.15명 줄어들었다. 합계출산율이 1보다 낮아지면 여성 1명이 평균적으로 평생 1명 미만의 출생아를 낳는 상태라는 의미다. 기존 인구 규모를 계속 유지하려면 합계출산율이 2.1명 이상은 돼야 한다. 이대로라면 울산의 인구는 '반 토막'을 우려해야 하는 실정이다. 

문제는 나이를 불문하고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인구유출이 갈수록 심화된다는 사실이다. 실제 경제활동이 왕성하지 않은 10대, 7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인구 순 유출이 발생했다. 통계청은 "인구 감소는 울산의 주력산업 부진으로 고용이 불안해지자 상대적으로 경기가 좋은 다른 지역으로 일자리를 구하러 이동하는 경향이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역 상공계에서는 역대 최악의 경기 부진을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문제는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퇴직과 탈울산이 앞으로 인구 감소를 더 부추길 수 있다는 점이다. 울산의 지난해 말 기준 베이비부머 세대는 전체 인구의 16%인 17만여 명으로, 이들의 자녀세대인 '에코세대'를 포함하면 전체 인구의 34.7%를 차지한다. 상당한 비중이다. 

이들에 대한 대책은 곧바로 도시 안정성과 직결된다. 도시의 고령화는 성장을 멈추고 쇠퇴한다는 의미다. 울산시도 베이비부머 은퇴자 정착을 위한 정주 여건 종합대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성과는 아직 없어 보인다. 갈수록 증가하는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은퇴에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베이비부머 세대들은 울산의 산업 성장을 이끈 주역이다. 은퇴자들은 재취업과 전직 등 소득을 유지하는데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울산시는 재취업·전직 지원, 창업 지원, 여성 일자리 활성화, 사회공헌활동 지원을 통해 소득절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방안을 찾고 있다. 귀농귀촌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보다 구체적인 지원을 하는 부분도 이 같은 사안을 고려한 조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실질적인 정책이다. 인구는 곧 도시의 자산이자 미래성장의 담보물이다. 인구감소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당장 마련해야 한다. 울산을 살고 싶은 도시, 사람이 모여드는 도시로 만들 새로운 정책이 필요하다. 이대로 방치하면 재앙이 된다. 울산의 명운이 걸린 문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