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주말을 휩쓴 태풍은 다행히 울산에 큰 피해 없이 지나갔다. 자연재해가 닥칠 때마다 울산은 각종 기상관련 정보에 목마를 수밖에 없다. 기상대가 있지만 그 위상은 초라하다. 중구 성안동에 자리한 울산기상대는 울산공단의 수많은 기업체들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산업수도의 기상 문제를 관할하는 기상대는 부산지방기상청의 하부조직이다. 최근 들어 울산을 중심으로 태풍이나 집중호우, 지진 등 기상과 지질의 변화상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기상당국의 중요성은 갈수록 부각되는 상황이다. 실제로 최근 몇 년간 울산지역의 기후는 이상기후의 전형이었다. 몇십 년 만의 최고 기온은 일상이 됐고 연일 폭염주의보가 이어지고 열대야 일수도 크게 늘어났다.

무엇보다 울산지역의 경우 기후 변화에 따른 대책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는 점이 문제다. 각종 재난·재해나 물관리 문제 등 선제적인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다. 연구자들에 따르면 한반도의 기후는 이미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한반도 일대는 아열대 기후에 진입했다는 분석도 있다. 비교적 자연재해의 피난처였던 울산도 몇 해 전부터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이 때문에 울산시는 기후·대기 분야 업무를 중점 관리하는 등 생태환경 도시에 맞게 조직도 바꿔나가고 있다. 울산시는 향후 관계부처의 조직변화와 울산시의 조직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기후·대기 분야를 포함한 여타 환경부서의 위상을 보다 격상시키는 추세다. 

울산이 이상 기후에 선제적 대응을 해야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무엇보다 지난 2016년 태풍 '차바'로 인한 물난리와 겨울철마다 반복되는 가뭄 등 울산도 기후변화의 피해를 직접적으로 겪고 있기 때문이다. 얼마 전에는 기후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울산에 종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을 설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이같은 시점에서 올해 초 울산시는 정부에 기상지청 승격과 '동남대기환경청 울산 설립 추진' 등을 건의했다. 

울산기상대의 기상지청 승격 건의와 관련해서 정부는 "울산의 환경을 감안하면 태풍, 지진,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에 대비한 맞춤형 기상정보 생산 제공이 필요한 만큼 울산기상대의 승격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는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오기도 했다. 올해 1월 울산시는 이미 기상청에 울산기상대 승격 필요성을 정식 건의해 긍정적인 답변을 받은 상황이다. 환경부 장관도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온 상태다.  

|울산시 관계자는 "기상청은 환경부의 외청으로 편성돼 환경부의 완전한 소속기관은 아니지만 전혀 무관하다고 할 수 없다"며 "기상청도, 환경부도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만큼 기상청의 조직개편 실행과 조직개편 내용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승인만 떨어지면 기상지청 승격이 실현될 수 있다"고 낙관했다. 울산기상대가 승격되면 울산지역에서 보다 전문적인 기상정보 제공이 가능해진다. 특히 울산은 2016년 경주지진과 태풍 차바, 2017년 포항지진을 겪었고, 최근에는 미세먼지와 폭염, 한파 등 자연재난이 반복되면서 국가산단과 원전이 밀집된 울산의 시민들에게 보다 신속하고 질 높은 기상서비스 제공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울산은 최근 급속한 기후변화에 직면해 있다. 울산지역 평균 기온이 오는 2100년대가 되면 17.32도에 이를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와 있다. 먼 이야기 같지만 이 같은 전망이 사실이라면 심각한 문제가 따른다. 기후 변화는 해마다 체감지수가 민감할 정도로 우리 일상의 문제가 됐다. 2100년의 수치지만 이는 해마다 기온이 오르고 있고, 그에 따른 국지성 호우, 폭설 등이 동반되기 때문에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이야기다. 울산발전연구원이 울산지역 기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다. 

당장 울산지역의 경우 집중호우 증가세가 눈에 띤다. 울산지역에서 하루 60㎜ 이상의 비가 내린 경우는 1970년대 29일, 1980년대 34일, 1990년대 38일, 2000년대 42일로 증가했다고 한다. 또 하루 80㎜ 이상의 집중호우의 경우는 1970년대 14일, 1980년대 16일, 1990년대와 2000년대 각각 22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울산지역 기후 변화는 시민들이 체감할 정도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 무엇보다 최근 잦아지는 울산지역 지진도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재난요소다. 2000년대 들어 동남 해안과 동해권에서 지진 발생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울산의 경우 국가경제를 떠받치는 기간산업과 수많은 제조업체, 에너지 보고인 원전까지 주요시설이 밀집한 지역이다. 언제 어디서 어떤 재해가 발생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대비는 보다 촘촘해야 한다. 

자연재해는 인간이 어찌할 수 없는 부분이 많지만 철저한 대비는 그 답이 될 수 잇다. 이 모든 상황을 고려하면 기상지청 승격은 당장 시급한 일이다. 국가적인 핵심 시설이 밀집한 울산을 이대로 방치해 온 것은 정부의 직무유기다. 하루빨리 정부의 응답을 기다린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