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민국 한지그림공예 명인 제 14-404호 송인영 작가는 한지를 찢어 회화적인 이미지를 표출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회화처럼 보이는 작품은 생동감과 자연스러운 멋을 더하기 위해 직접 한지를 염색해 사용하고 관련 기법들을 개발하고 있다.

찢거나 빚어 붙인 한지가 회화적 이미지로 표현 가능한 까닭은 작가의 투철한 묘사력과 관찰력이라 할 수 있다. 갈대의 이미지를 사실성을 더하기 위해 실제하는 갈대를 찾아 연구하고 분석하는 일을 기초로 했다. 갈대의 여린 잎을 나타내기 위해서 물기를 머금은 한지를 아주 가늘게 섬유질을 뽑아내 한 올씩 부착했으며 빛의 방향에 따른 명암은 그림을 그리듯 미세하게 다른 색으로 표현했다.

한지그림공예는 회화와는 달리 밑그림이 없이 작업을 하므로 작가의 구상능력이 중요시 된다. 어떠한 형상을 나타낼 것인지 정해두고 알맞은 색상과 이미지를 구현한다. 물감처럼 색상이 다채롭지 않기 때문에 직접 그림에 맞는 색상으로 한지를 염색을 해야 한다. 한지 염색 작업부터 시작해 건조하고 가늘게 뜯어 붙이는 시간까지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요한다. 한지를 손으로 뜯어낸 부분이 우연적이나 가는 섬유질이 베어 나와 수채와의 붓 터치와 흡사한 표현이 가능하다.
대한민국 미술대전 입상작인 '월광 소나타'는 여행지에서 보름달이 뜬 가을밤의 갈대밭을 묘사했다. 다소 어두우나 부드러운 풍경에서 작가는 영감의 발로가 되었다. 동양적 의미로 보름달은 풍요와 번영을 상징하며 갈대란 갈색의 가늘고 긴 줄기 식물을 의미한다. 작품 속 갈대는 고아한 달빛과 함께 선선한 가을바람을 타며 자유로이 물결치는 모습이 부드럽고 은은하다. 갈대의 율동적 형상은 음악적 모션이 드러나며 자연스레 베토벤의 잔잔하게 흐르는 '월광 소나타' 1악장이 떠오르게끔 한다. 음악소리가 들리는 듯 내면적 울림이 전해진다. 

 

송인영 作 '월광소나타'
송인영 作 '월광소나타'

 


'월광 소나타' 라 제목 지은 작품을 본 한 관람객이 작품에서 아름다운 음악소리가 흘러나오는 듯한 감명을 받았다고 한다. 갈대의 사각거림이 음악처럼 들려진다는 의미였다. 작품이란 작가의 내면을 표현하는 역할도 있지만 관객과 소통하며 공감하는 부분도 있다. 그러한 점에서 송인영 작가는 보람을 느끼고 작업이 기쁘다고 한다. 한지를 사랑해서 시작한 것이 어느덧 20년이 넘는 시간이 흘렀다. 그 동안 쉼 없는 작품 활동으로 대한민국 한지그림명인이 되어 한지의 본거지인 안동에서 조용히 작업에 임하고 있다.

송인영 작가의 소망은 한지그림공예를 젊은 인재가 배우기를 바라는 것이다. 주부들이 취미로 많이 배우지만 한계가 있다. 따라서 대학 등 전문교육 기관에서 학생들이 배워 홍보나 영어 등의 한계를 극복하기를 바란다. 이에 한지그림공예가 활성화되고 더 나아가 세계로 널리 알려지기를 희망하고 있다. 또한 건강이 허락하는 한 끊임없이 작품을 선보여 많은 이들에게 한지그림공예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싶다고 한다. 명인으로서의 자긍심을 가지고 한지의 아름다움을 사랑하는 그녀의 삶 역시 작품처럼 깊은 감동을 울린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