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이 사상 처음 1인당 개인소득 전국 1위 자리를 뺏기고 2위로 내려앉았다. 지역 경제성장률도 마이너스로 돌아서는 등 울산의 '살림살이 지표'가 심각하게 뒷걸음질 치고 있다.
이는 조선·자동차 등 주력산업이 장기 부진한데 따른 것인데, 제조업 고용쇼크에 기인한 소득절벽이 여전한데다 실업에 따른 비임금근로자 증가세도 지속되고 있는 만큼 한동안 경제지표 개선을 위한 돌파구를 기대할 수 없는 처지다.

# 서울 2,223만원으로 첫 1위
통계청은 5일 '지역소득통계 2015년 기준 개편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통계에서는 기준년도를 2010년에서 2015년으로 바꾸고 2012년 7월 출범한 세종시를 충남·북에서 분리해 조정하는 등 보완 작업이 이뤄졌다.


집계 자료에 따르면 울산의 2017년 1인당 개인소득(당해연도 가격 기준)은 2,195만6,000원으로 전국 17개 지자체 중 서울(2,223만7,000원)에 이어 2위로 밀려났다.
세종(2,140만원)과 대전(1,931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전남(1,704만원)과 전북(1,706만원), 경북(1,743만원)의 개인소득은 적은 편이었다.


울산은 집계가 시작된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줄곧 1인당 개인소득 1위를 기록해왔다.
조선업이나 자동차, 중공업 등 주요 제조업의 거점이다보니 고임금을 받는 생산직 근로자들이 다수 거주한데 따른 결과였다.


그러나 역으로 조선업 등 이들 제조업 불황이 본격화되면서 소득 증가폭도 줄었다.
1년 전과 비교해 2017년 전국 평균 개인소득은 3.7% 증가했지만 울산은 2.5% 느는데 그쳤다.
지역별 경제성장률을 뜻하는 실질 지역내총생산을 보더라도 울산은 2017년 0.7% 감소해 경북(-1.2%)과 경남(-0.7%)과 함께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다. 전국 평균은 3.1%였고,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호황에 힘입어 충북(6.1%)과 충남(5.4%)을 비롯해 경기(6.6%) 등이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 비임금 근로자 늘며 소득지표 악화
제조업 경기가 반등 조짐을 보이지 않으면서 제조업발 일자리 대란이 심화되고 있는 만큼, 울산은 당분간 소득 지표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 이어질 전망이다.
동남지방통계청이 집계한 '7월 울산시고용동향'에 따르면 지역 주력산업인 제조업의 경우 같은 기간 6,000명(3.4%) 줄어들며 39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지속적인 고용여건 악화에 시달려온 제조업은 종사자 숫자가 지난달 17만7,000명까지 쪼그라들며 18만명 선이 붕괴됐다.
제조업 구조조정 등으로 안정적인 일자리를 가진 임금근로자들은 줄어들고 대신 비임금 근로자들이 늘어나면서 소득지표가 악화되고 있다.


울산의 지난 7월 임금 근로자는 전년 동월 대비 300명(-0.1%) 감소했다. 반면 비임금 근로자는 지난해 같은달 보다 9,000명(9.4%) 불어났다.
비임금 근로자의 상당수는 자영업자들로, 울산의 자영업자는 지난해 동월보다 1만1,000명(14.0%) 늘어났다.


이는 일자리를 잃은 실업자들과 취업에 장기간 실패해온 이른바 '취준생'들이 '울며겨자먹기'로 창업에 뛰어든데 따른 현상으로 분석됐다.

# 1인당 지역내총생산 여전히 1위
그럼에도 2017년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여전히 울산이 6,537만원으로 1위였다. 충남(5,366만원)과 서울(4,137만원) 등이 뒤이었다. 대구(2,231만원)와 광주(2,524만원), 부산(2,565만원)은 하위권이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장기불황 여파로 울산 제조업의 생산이 감소하는 바람에 지역 근로자의 소득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그래도 원래 자리잡고 있는 생산설비나 생산규모가 거주인구에 비해 많기 때문에 여전히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낮지 않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주화기자 usjh@ ulsanpress.net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