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집값 안정에 방점을 찍고 내놓은 지난해 9·13 부동산대책 이후 울산지역 아파트값은 일제히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혁신도시 일대 신축 아파트와 일부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이 오른 곳이 있지만, 5개 구·군의 중소형 아파트값은 예외 없이 급락했고 덩달아 거래량도 줄었다.

1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와 한국감정원의 부통산동계정보시스템 자료를 분석한 결과 9·13대책 이후 1년간 거래된 울산지역 아파트 실거래가격은 대책 이전에 비해 적게는 4~500만 원에서 많게는 5,000만 원 넘게 하락했다.

실제 5개 구·군별 주요 아파트 가격 등락을 보면, 중구 태화동 L아파트의 경우 전용면적 84.95㎡의 올해 7월 실거래가는 2억4,500만 원으로, 9·13대책 이전인 지난해 7월의 2억9,900만 원에 비해 5,400만 원이나 빠졌다.

남구 옥동의 H아파트 전용면적 84.50㎡는 1년 전 2억2,400만 원에서 2억2,000만 원으로 400만 원이 줄었다. 특히 최근 몇 년 간 지속된 조선업 침체의 여파로 울산지역 5개 구·군 가운데 부동산 가격 폭락이 가장 큰 동구의 경우, 전용면적 59.96㎡인 전하동의 A아파트는 1년 전 1억8,300만 원에서 올해 9월 1억5,000만 원으로 3,300만 원이나 떨어졌다.

최근 신개발지를 중심으로 인구가 늘고 있는 북구의 아파트값도 예외가 아니었다. 북구 화봉동의 P아파트 전용면적 71.87㎡는 작년 9월 1억6,700만 원에 거래된 것이 올 8월에는 1억5,000만 원으로 하락했다. 또 생활권이 달라 지역별 편차가 큰 울주군의 경우 일부 지역의 물량 과잉공급으로 준공후 미분양이 속출하는 등 부동산 시장이 한파를 맞고 있다. 때문에 울주군 범서읍 구영리 H아파트 전용면적 58.62㎡의 실거래가는 1년 전 1억5,500만 원에서 지난달 1억2,400만 원으로 3,000만 원 이상 줄었다.

이처럼 집값 하락에도 불구하고 거래량이 줄어 문을 닫는 공인중개사도 속출하는 상태다. 올들어 지난 7월까지 거래된 울산지역 전체 아파트는 1만8,226가구인데, 이는 최근 5년 연평균 거래량 3만2,060가구의 절반 수준이다. 올해 월별 거래물량은 1월 2,488가구를 시작으로 이사 성수기인 4월 3,564가구로 정점을 찍은 뒤 5월 2,591가구, 6월 2,047가구, 7월엔 2,007가구로 떨어졌다.

거래량이 줄면서 시장에 내놓는 매물도 급감한 상태다. 부동산114가 집계한 울산의 아파트 매물은 이날 현재 중구 4가구, 남구 12가구, 동구 1가구, 북구 8가구, 울주군 47가구를 합쳐 모두 72개구에 불과했다.

정부의 9·13대책이 단기적으로는 집값 안정이란 당초 목적은 달성한 셈이지만, 기존 중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실수요층이 관망세로 돌아서고 있어 부동산 시장 침체는 앞으로도 상당 기간 이어질 전망이다.

물론 9·13대책 이후 지역의 아파트값이 떨어진 것만은 아니다. 지난 1년간 중구 우정동의 전용면적 125.54㎡짜리 I아파트는 4억8,000만 원에서 5억2,000만 원으로 4,000만 원이 뛰었다. 또 남구 옥동의 D아파트 전용면적 84.98㎡는 1년 전 5억4,500만 원에서 5억6,200만 원으로 올랐다.

지역 부동산 업계에선 "9·13대책으로 거래가 침체된 상황에서 대출 부담이 덜한 무주택자나 대출이 필요 없는 현금 부자들이 주로 주택 매수에 동참할 것으로 보이지만, 실거래가의 조정 국면이 이어지고 있어 시장 활성화를 기대하기는 아직 이르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최성환기자 csh@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