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가 원전해체산업 중점 육성을 위해 부산시와 공동 추진했던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정 공모에서 탈락했다.
울산시에 따르면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의 지정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지난 2017년 12월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9월까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정 신청을 받았다.


이에 따라 울산시도 부산시와 공동으로 울산·부산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조성계획을 수립하고 지난달 25일자로 산업부에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정을 신청했지만 탈락 통보를 받았다.
울산시 관계자는 "9월 25일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정을 산업부에 신청했다"면서 "신청한지 일주일여만에 심사에서 탈락했다는 구두통보를 받았지만, 아직 최종 선정 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탈락이유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듣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 "신청은 전국에서 8개 지역에서 신청한 것으로 파악됐고, 현재 선정된 지역이 어느 곳인지 역시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산업부가 추진중인 에너지융복합단지 조성사업은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화력발전 등 9대 에너지 중점산업을 중심으로 에너지산업과 에너지연관산업의 집적 및 융복합을 촉진하기 위해 추진되는 사업이다. 정부는 융복합단지에 지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개발센터, 창업·수출지원센터, 전문기술교육센터 등의 기반 시설 조성을 지원하게 되며, 입주기업에는 지방세 감면, 연구개발 지원, 생산제품의 공공기관 우선 구매 등을 지원한다. 또 대학이나 연구소, 단체 등 전문 연구기관에는 연구개발과 인력양성 등에 소요되는 비용도 지원한다.


울산시가 단지 지정을 위해 수립한 '울산·부산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조성계획'에 따르면 △원전해체연구소를 설립해 원전해체기술의 고도화의 실증사업을 추진하는 원전해체산업 육성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게 하고 △원전해체산업의 지역별 특화분야를 고려해 울산과 부산에 각각 종합지원센터를 구축하도록 했다. 또 울산은 두산중공업이, 부산은 현대건설이 원전해체산업 앵커기업으로 참여하도록 해 두산 중공업은 제염과 해체폐기물 관리 등의 분야를 맡고, 현대건설은 해체와 철거 등의 분야를 맡는 등 역할을 분담토록 했다.


이 외에도 오는 2029년까지 국비 3,601억 원을 포함 총 4,502억 원을 투자해 원전해체 기술개발과 상용화 등 기술혁신 역량강화 사업을 추진하고, 오는 2024년까지 250억 원을 투입해 기업지원을 위한 원전해체 시험인증 평가 체제를 구축하는 방안도 울산시가 수립한 조성계획에 포함돼 있다.
또한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등 국제기관과 원전 폐기물관리 및 원전해체 인력양성분야 등에 다각적인 국제협력을 추진하는 등 산·학·연 공동협력 및 글로벌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안도 담겼다.


울산시는 이같은 종합계획에 따라 울산·부산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가 지정·조성될 경우 고용효과는 2만1,000명, 생산유발효과는 약 3조2,000억원이 발생하고, 앵커기업 등 2개소 등의 연관기업 유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이같은 기대에도 불구하고 울산과 부산이 공동으로 신청한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신청이 좌절됨에 따라 원전해체산업 중점 육성을 통한 원전산업 벨류체인 완성과 이를 통해 화학, 기계, 로봇 및 전자산업에 이르기까지 연관산업 육성 등 지역 경제활성화를 꾀하고자 했던 울산시의 계획에도 상당한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한편 산업부는 이달 중 단지조성 계획 평과 등의 과정을 거쳐 11월까지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정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전우수기자 usjws@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