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염원관리라면 우리는 당연히 생산분야, 기업체를 타깃으로 삼았다. 소위 대량배출 업소라는 기준에 근거한 판단이다. 일반소비자는 오염을 발생시킨다 하더라도 기업체처럼 대량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미량에 그치고 있는 만큼 단속우선 순위에서 비교적 관대했다. 그러나 이런 잣대는 역(逆)으로 단속이 용이한 곳을 찾은 결과가 된다. 단속이 어려운 개인이나 소비자를 제외시켰다는 것은 오염관리에 있어 중대 허점이 아닐 수 없다. 그 중요성을 이제야 깨닫고 있다. 이슬비가 모여 거대한 강물을 만들듯이 무심코 지나쳤던 소비자들의 오염이 환경파괴의 최대 주범이었다는 것을 터득한 결과다. 울산시 주최로 22일 울산 롯데호텔에서 열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도시 국제심포지엄'에서 정래권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ESCAP) 환경국장의 지적도 바로 여기에 집중됐다. 정 국장은 이날 주제발표에서 "경제적 효율성에 밀려 잃어버린 생태적 효율성을 되찾자는 것이며, 교통혼잡비용이 매우 낮은 일본이나 싱가포르의 철도 및 자동차 정책 등에서 사례를 배워 경제발전 패턴을 생태학적 효율성 위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성장패턴을 바꾸려면 정부가 기업체를 규제하는 생산분야에 대한 오염관리에서 벗어나 소비 분야의 오염관리에 정책적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즉 지금까지 소홀했던 소비 분야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지 않고는 그 어떤 환경개선도 불가능하다는 것을 강조한 셈이다. 또 유엔환경회의(UNEP) 아·태사무소 슈렌드라 슈레스타 소장도 '지속 가능한 개발과 아시아 태평양의 환경도시' 라는 특강에서 "아시아 태평양 일부 국가들이 경제성장을 구가하고 있지만 대기와 수질오염, 식품안전, 쓰레기 등 환경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이제 경제발전 전략을 환경친화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환경친화적 전략의 핵심은 친환경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라며 "자원이 사용돼 상품화 되면서 산업발전을 이룬 후 환경피해로 돌아오지 않고 다시 순환할 수 있도록 친환경 기술개발이 절대적이다"고 강조했다. 소비가 곧 환경파괴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소비를 하고도 환경을 온전하게 보존하고 되돌릴 수 있는 선순환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개인의 소비활동이 환경파괴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규제와 단속이 시급하다. 이것이 전제되지 않고 기업체만을 중점 단속한다면, 결국 생산과 소비의 악순환만 불러오게 된다. 이날의 화두는 바로 소비자의 각성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