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가 16일 도시계획에 '성장관리 개념'을 최초 도입한 '2021년 울산중장기 계획'을 확정해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수정계획의 골자는 개발 위주에서 벗어나 성장과 관리 개념으로 전환한 것이다. 또 대상을 단일 도시권에서 주변 도시로 넓혀 광역화하는 동시에 공급 보다는 수요 중심의 개발 목표를 제시했다. 배경은 지역의 경제· 사회· 환경의 변화로 재정비가 불가피하다는 판단에서다. 도시공간 구조는 기존의 1도심 4부도심 틀을 유지하면서 주변지역과의 공간적 연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7대 성장관리권역과 3대보전축을 근간으로 한다는 설명이다. 이름도 성장동력권, 계획적관리권, 친환경개발권 등으로 나눴다. 소위 선택과 집중을 통해 도시의 균형개발을 달성하고 외부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이를 자세히 들여다보고 있으면 별반 달라진 것이 없다. 행정의 자로 잰 듯한 통제와 간섭은 오히려 강화될 눈치다. 이렇듯 지역별 발전과제를 명료하게 박아놓았는데 무슨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겠는가. 공무원과 관련 전문가들이 책상머리에 앉아서 작성한 잣대를 앞으로는 더 철저하게 지켜야 할 판이다.
 이래서는 도시의 생명이 살아 숨 쉬지 못한다. 최근의 추세는 도시개발계획을 어떤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도록 완화하고 있다. 꼭 틀에 짜 맞추는 것보다 개성을 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훨씬 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는 반성에 기초한 변화다. 특히 울산은 고속철도시대를 맞게 되면 부산과 대구로부터 직접적인 도전을 받게 된다. 지금까지는 그래도 울산만의 단일상권을 지키며 독립된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만 고속철도가 개통되면 상황은 전혀 딴판으로 갈 수 있다. 쇼핑이나 주말여가를 울산보다 여건이 좋은 부산과 대구로 빠져나갈 개연성이 높다. 교통혁명이 가져올 또 다른 우리생활의 변모다.
 이런 상황에 대비해 봤을 때 울산에는 주말이면 아이들과 함께 갈 수 있는 변변한 놀이공원 하나 없다. 울산대공원이 있지만 아이들이 장시간을 보낼 수 있을 만큼 놀이시설이 다양하지 못하다. 또 대형쇼핑몰이나 극장가가 소비자 욕구에 맞춰 구색을 갖추고 있는 곳도 없다. 특히 의류나 생필품을 쇼핑할 수 있는 브랜드화 된 거리도 울산에서는 더욱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모든 것이 울산시가 인정했듯이 개발 위주의 공급 정책에서 비롯됐다. 그렇다면 이제라도 부산과 대구처럼 시민들의 욕구를 다양하게 반영할 수 있는 도시공간을 창출할 수 있도록 개발여지를 만들어야 한다. 규제와 단속만으로 도시의 경쟁력을 키우던 시대는 지났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