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능한 의사나 법관이 우리 사회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다. 생명과 인권의 파수꾼으로서 이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실로 막중하다. 그러나 우리 사회가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발전하는데 있어 보다 중요한 것은 창조적 직업인을 육성하는 일이다. 한 사람의 과학자가 만 명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 신기술과 새로운 상품을 개발한다는 것은 한 사회를 도약시키는 밑거름이 되기도 한다. 세계가 국경을 넘어 과학인재를 발굴, 영입하는데 사활을 걸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나라만큼 이들을 제대로 대접하지 않는 나라도 찾아보기 힘들다. 우리나라 최고의 공대를 수석 졸업한 공학도가 의과대학에 편입하고 있다. 무엇이 이들로 하여금 이런 선택을 하도록 하겠는가. 바로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의사 등 전문직과 비교, 과학자들의 보수가 따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다. 정부가 22일 '유년에서 황혼까지' 과학기술인의 전 생애에 걸쳐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정책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과학기술부는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노무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2007년 국민과 함께하는 업무보고'행사를 갖고, 과학영재 발굴에서부터 중견 과학기술인 육성, 은퇴 과학기술인 활용에 이르는 '전주기적(全週期的) 과학기술 인력양성' 정책을 발표했다.이날 보고행사는 '수요자 관점 업무보고' 형식에 따라 과학기술 인력정책의 5대 수요자인 아동. 청소년, 대학. 대학원생, 재직 과학기술인, 여성 과학기술인, 퇴직 과학기술인 등 150여명을 초청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정책 최종수요자인 국민에게 정책참여를 활성화한다는 취지에서 인터넷 공모 등을 통해 선발된 과학기술인 30여명도 참석했다. 전주기적 인력양성 체계 강화방안은 과학영재 발굴→교육→취업→연구→은퇴에 이르기까지 과학기술인의 전 생애에 걸쳐 다양하고 체계적인 지원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과기부는 특히 이공계 인력을 대상으로 학력. 직종. 연령. 성별 등으로 구분한 지역별 분포현황을 집대성한 '국가 과학기술 인력지도(人力地圖)'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과기부는 또 공학교육을 산업수요에 맞춰 혁신한다는 방침에 따라 공학교육 인증프로그램을 지난해 197개에서 올해 222개로 확대키로 했다. 또 공학교육 혁신 주체인 공학교육혁신센터를 전국 50개 대학에 설치키로 했다. 그러나 이런 백화점식 전시나 구호로 이공계에 우수한 인력을 불러들일 수 있겠는가. 미래에 대한 보장이 전제되지 않고는 과학입국은 한낱 꿈에 지나지 않는다.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