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용시장이 불안하다. 올초부터 정부의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이 일시적인 효과를 보이고는 있지만 일시적 처방이라는 한계와 제반 조건이 맞지 않아 중도 포기자가 속출하는 양상이다. 고용이 불안하면 지속적인 발전을 담보하기 어렵다. 이 같은 사정을 감안, 울산시가 올 하반기에 3,195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기로 했다. 시는 하반기에 지역상생발전기금 등을 집중 투입해 공공부문에서 일자리를 추가로 창출할 모양이다. 내용을 들여다 보면 Post-희망근로와 자립형 지역공동체사업,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일자리 지원센터 운영 등이다. 이번 하반기 일자리 창출사업은 오는 6월로 예정된 희망근로사업 이후에도 지역 고용시장의 연착륙 유도를 위한 조치로 보인다. 울산시는 청년실업 해소와 실질적인 체감경기 회복을 위해 이번 하반기에 시, 구·군 별 일자리 지원센터의 설치·운영, 우수고용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업규제 개선, 청년실업 대책을 위한 청년창업 프로젝트 추진 등 지역일자리 창출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일자리 창출을 국정의 최대 역점과제로 선정하고 자치단체의 일자리 실적 평가를 통해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을 밝히고 있는 시점에 울산시의 이번 조치는 발 빠른 대응으로 볼 수 있다.
 우리사회의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청년실업이다. 청년실업을 해소하지 못하면 고용시장의 불안은 치유되기 어렵다. 청년실업의 주원인은 고용조건의 불일치다. 울산시의 처방도 이 부분을 중시하고 있다. 고용보조금 제도를 활용, 취업하는 청년들의 임금을 보존하고 기업의 경영 부담을 완화해 주려는 의도다. 취업 희망자의 자격 요건이 미흡할 경우 반드시 고용을 전제로 한 맞춤식 훈련도 준비 중이다. 일자리 지원센터를 통해 실업자와 기업 간 연결고리를 늘리는 전략도 세웠다. 이러한 시도가 청년실업을 해결의 성과로 나타나야 한다. 사실 그간 자치단체가 내놓은 일자리 사업은 아쉬움이 컸다. 거의 젊은이들로부터 외면 받았다. 단기간에 실업률을 낮추는 일시적인 대증요법에 치중하는 인상이 짙었다. 물론 경제 불황기에 괜찮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 쉽지 않지만 구조적·장기적인 대책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번 묘책은 달라야 한다. 구직·구인이 불균형을 이루는 미스매치 현상도 풀어야 한다. 지역 인재를 지역에 기반을 둔 기업에 알선하는 사업을 병행하면 효과는 배가된다. 기업도 보다 적극적으로 실업문제에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