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현세자와 사도세자는 조선왕조를 통틀어서 가장 비운의 삶을 살다간 왕자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두 왕자들은 모두 왕인 친아버지에 의하여 제 명대로 살지 못하고 타살, 혹은 타살의 의혹을 받고 있다. 그것도 정치적인 견해를 달리한다는 이유로 말이다.


 소현세자는 병자호란 때 인조가 청나라 황제에게 세 번 절하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리며 항복한 이후 봉림대군과 함께 인질로 청나라에 끌려간다. 그곳에서 8년간 지내면서 소현세자는 아담 샬 등의 서양인들은 물론 청나라의 고관들과 교제하게 된다. 그 과정에 소현세자는 조선의 발전을 위해서는 청과 적대적 관계를 유지할 것이 아니라 청나라의 앞선 제도와 문물을 받아 들여 조선의 국부를 키워야 한다는 견해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소현세자의 이러한 생각은 삼전도의 굴욕을 격은 인조에게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것으로 치부되고 둘 사이의 사고의 차이는 결국 소현세자의 명을 재촉하는 결과가 되고 말았다.
 사도세자의 죽음은 더욱 더 비통함을 느끼게 한다. 경종의 독살설이라는 아킬레스건을 가지고 왕위에 오른 영조는 정치적 기반인 노론은 물론 소론도 등용하는 등 탕평책을 쓰면서 정치적 화합을 이루어 내려고 했다. 그러한 과정에 경종독살의 주범이 영조라고 하는 나주벽서사건이 불거지면서 영조는 소론들을 숙청하거나 유배하는 등 정치적 탄압을 가하게 된다.


 당시 대리청정하던 사도세자는 노론들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소론의 입장을 옹호하게 되자 이는 영조에 대한 도전으로 받아 들여져 사도세자는 비극을 맞이하게 된다.
 이처럼 절대자와 생각을 달리한다는 것은 어쩌면 함께 어떤 일을 도모함에 있어 커다란 장애요인으로 작용할지도 모른다. 특히 그러한 다른 생각이 밖으로 표출되었을 때에는 위에서 본 세자들의 경우와 같이 극단적인 경우도 염두에 두어야 할 지도 모른다. 극단적인 경우는 아니라 하더라도 최소한 정치적 생명에 치명상을 입을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절대자의 의견에 반대하려면 대단한 용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절대자도 사람인 이상 잘못된 판단을 할 수 있고 누군가가 이를 바로잡아 주어야 하는데 그것이 쉬운일이 아닌 것 같다. 동서고금을 달리하더라도 절대자에에 대한 반대가 어렵다는 것은 변하지 않는 이치이다.   최근 노무현대통령의 사후에 나온 자서전적인 '운명이다'라는 책에서 재임시 한나라당에게 연립정부를 구성하자는 제안을 한 바가 있는데 이러한 연정이야기를 꺼집어 내었을 때 참모들 아무도 이야기 하지 않아 반대가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제안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 또한 최고권력자의 의견과 다른 생각을 이야기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웅변으로 말하고 있다.
 조만간 청와대와 내각의 인사개편이 있을 모양이다. 지난 6·2지방선거 과정에서 보여준 민심은 준엄했다. 오만하고 소통하지 못하는 여당에 호된 질책을 내린 것이다.


 이번의 인적쇄신은 이러한 지방선거에 대한 반성으로 단행되는 듯하다. 조금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소통하지 못하고 국민의 뜻을 잘 받들지 못한 인사에게 책임을 지운다는 의미에서 긍적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다만 새로이 구성될 인적구성의 폭과 내용이 문제이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생각과 같은 사람을 좋아 하기 마련이다. 그리고 이러한 동질의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편안함을 느끼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나 그러한 편안함, 혹은 강요된 편안함 속에 위 연정제안처럼 잘못된 결정은 언제나 도사리고 있다.


 따라서 이번에는 자신의 정치적 생명보다는 국익을 우선 생각하고 꼭 해야 할 말은 할 수 있는 사람, 어느 광고의 카피처럼 모든 사람이 YES라고 말할 때 NO라고 말 할 수 있는 사람이 선택될 수 있기를 소망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