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 속담에 "고양이에 생선가게 맡긴다"는 말이 있다. 이를 뒤집으면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다 시킨다"는 원인 제공이다. 고양이에게 생선가게를 맡기지 않으면 생선을 도둑 맞을 일이 없다. 동시에 꼴뚜기가 어물전 망신을 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꼴뚜기를 어물전으로 끌어들이지 않으면 될 일이다. 그런데 우리는 이런 속담으로 충분히 학습을 하고 있으면서도 매번 이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고 있다. 감사의 감(監)자도 모르는 정치판 인사에게 공기업의 감사를 맡기는 것부터가 분명 잘못되었다. 대선승리에 따른 논공행상을 하더라도 격에 맞는 자리를 주어야지 아무데나 주어서 안 된다는 것을 '공기업 감사들의 무더기 외유'가 입증하고 있다. 이번 남미 이과수외유에 동참한 공기업 감사들은 여비로 소속 공기업으로부터 각각 800만원씩을 받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동참 인원은 최대 34명이라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어, 파장이 공기업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아무리 공돈이라고 하더라도 너무 과했다. 방문 목적은 남미의 선진적 감사 시스템을 배우기 위한 것이라 하지만 실제, 남미는 감사 선진국이 아니다. 아니 OECD 회원국인 우리가 오히려 감사 기술을 전수해줘야 할 판이다. 그런데도 이들은 뻔뻔스럽게 말 같지 않은 명분을 내세우고, 실제로는 관광성 외유를 결행했다. 감사의 주무부처라 할 감사원은 이들의 주장에 대해 "남미가 감사제도에 있어 선진적이라는 얘기는 아직 처음 들어본 얘기"라면서 "더욱이 최근 정보교류도 자유로워져서 굳이 남미에 직접 가서 볼 필요가 없다"고 말하고 있다. 더욱이 이들은 굳이 감사기법을 배우려면 미국의회 산하 회계감사국을 찾아야 할 것이라 일침을 놓았다. 따라서 이들의 남미 방문은 관광성 외유라는 비난을 면치 못하게 됐다. 문제는 왜 이런 함량미달의 감사들이 양산되느냐다. 이번 사단을 일으킨 '감사포럼'소속 감사 82명중 상임감사가 61명, 비상임감사가 21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상임감사 61명중 정치권과 관련된 인물이 43명으로 70.5%를 차지했다. 그러나 감사업무에 정통, 전문성을 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감사원 출신은 8명에 그쳤다. 정치권의 보은인사로 있으나마나한 감사들이 우리 공기업을 꿰차고 있다. 그러면서도 이들의 서열은 기관장 다음으로 막강한 권한과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실정이다. 감사가 감사할 것이 아니라, 일반 직원이 감사를 감사해야 할 곳이 우리 공기업의 현주소다. 이과수외유 파문은 이런 구조적 문제 때문에 이미 예견되었던 일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낙하산 인사를 더 이상 방치할 것인지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이유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