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 단군신화에 우사(雨師), 운사(雲師), 풍백(風伯), 뇌공(雷公)이 등장하는데, 자연의 네 신(四神)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 자연의 신을 부르는 의례에서 시작한 것이 사물(꽹과리, 장구, 징, 북) 놀이이다. 이 사물로 소리를 내어서 신을 부르고 오늘날 한민족의 사물놀이로 전래되어 왔다.
 사물놀이의 맨 앞에서 울리는 꽹과리는 뇌공이라 하여 천둥소리를 상징하는 것이며, 장구소리는 줄기차게 쏟아지는 소나기를 연상하는 우사(雨師)라 했다. 이 두 가지 못잖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북과 징인데, 북은 운사(雲師)라 하여 구름이 하늘 궁전을 이루며 두둥실 떠가는 모습을 소리로 표현한 것이며, 징 울림은 바람소리를 상징하는 은은한 울림이다.
 이렇게 자연의 소리를 악기로 재연하여 추수감사제의 의례 때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함께 즐기며 놀았다.
 고조선 이후로 고구려와 부여에서는 영고제(靈鼓祭)와 동맹제(東盟祭)가 있었다. 농경의례로써 풍성한 수확과 추수에 대한 감사로 올리는 제례였다. 은력(殷歷) 정월에 하늘에 제사지내고 백성들이 많이 모여서 연일 마시고 먹고 가무를 즐기니 이를 영고라 이름 하였다. 은력의 하력(夏曆)은 음력으로 치면 12월 이지만 오늘날 음력으로 계산하면 은력의 정월은 같은 뜻이다. 이 영고제 때는 형벌과 옥사를 중단하고 죄수들을 풀어주는 지금의 국경일과 다를바 없다. 이런 의례는 나라마다 그 성격이 조금씩 명칭이 달랐는데 근본은 맥락을 같이 했다. 고구려는 동맹제(東盟祭)를 지냈는데 동맹의 본래 뜻은 '동맹' 즉, '동여매다'의 옛말을 이두로 표현한 것이 동맹이다고 이영희는 '노래하는 역사'에서 밝히고 있다.
 동예는 무천제(舞天祭), 삼한의 시월제(十月祭)가 추수가 끝나는 10월의 행사였으나 영고제 만은 은력 정월, 즉 12월에 행하였으나 아마도 이 영고제는 원시시대 수렵사회의 전통을 이어온 것이 아닌가 하고 '한국민속학개설'에서 이두현, 장수근은 추정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민족은 예부터 자연과 동화하며 자연의 소리를 상징하는 악기를 만들어서 수천 년을 4물놀이로 즐겨왔다. 농경문화가 꽃피던 시절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의 농본주의 때부터는 나라 안 곳곳에서 사물놀이를 즐겼다. 정월대보름 날과 추석한가위 때는 풍악을 더욱 신명나게 울렸다.
 6월 초부터 울산에서는 가장 큰 행사인 "태화강 물 축제"가 시작된다. 이 볼거리 행사가 곁들여서 행복을 느끼게 한다.
 예부터 물은 만물의 근원이였다. 물에서 생명이 시작되므로 물을 제일 첫 번째로 보았다. 그래서 철학자인 텔레스는 "물은 우주의 기본원소라 했고,  모든 물질은 물이 형태를 달리한 것" 뿐이라고 극구 예찬했다.
 깊은 밤을 일컫는 자시(子時)의 자(子)도 수(水)에 해당하므로 지지(地支) 열두 가지 가운데 자가 가장 먼저이고 이것은 곧 물을 의미한다. 이같이 지지에서도 첫 번째에 해당하는 육십갑자(六十甲子)이다.
 세계적인 축제는 그 규모나 형태나 모양이 다를 뿐, 축제를 갖는 의미는 매우 깊다. 우리나라에서도 오랜 축제들이 많지만 지방자치제가 되면서 90년대 이후로 각 지방 고을마다 축제가 없는 곳이 없을 만큼 다양한 축제를 갖는다. 하지만 생태도시로 되살아 난 태화강 물 축제는 말만 들어도 감동적이고 신명나는 잔치가 아닐 수 없다. 브라질의 니오데자네이루에서 100만 관객을 끌어들이는 삼바 축제보다 대한민국 울산의 태화강 물 축제는 더욱 흥미 있고 생명력 넘치는 축제로 깊은 감흥을 남겨 줄 것이다.
 고조선 시대부터 신바람 민족으로 살아온 우리 한민족은 영고제, 동맹제(東盟祭), 무천제(舞天祭), 시월제(十月祭)를 비롯한 수많은 축제를 수천년 동안 이어온 민족이다. 이제 맑은 물 흐르는 태화강변에서 그윽한 창포 향기 맡으며 머리와 멱을 감고 옛 선조들이 지켜온 축제의 의미와 전통을 되새겨보자.
 아울러 신명나게 사물놀이 판을 벌여 다함께 신바람 나게 어깨춤을 추며 화합과 번영의 미래를 열어나가자.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