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의 승경 반구대를 지나는 대곡천(大谷川)은 구곡천(九曲川)으로도, 칠곡천(七曲川)으로도, 반계(磻溪)라고도 불렸다는 사실은 앞에서 소개했다. 그리고 최종겸(崔宗謙)이 반구대를 예찬한 반구십영(盤龜十詠)이란 시를 지었다는 사실도 소개한 바가 있다.
 최종겸보다 후대의 언양 출신 천사(泉史) 송찬규(宋璨奎, 1838-1910)도 반구대 주위의 빼어난 풍광을 읊은 시를 남겼다. 송찬규는 언양에 귀양왔던 정몽주의 덕행을 사모해서 그를 추모하고 현양하는 데에 앞장섰던 한말의 선비다.
 반구대 인근에는 포은을 기리는 기념물이 산재해 있다. 그 가운데 반구서원 건너편에 있는 유허비 3기도 송찬규의 흔적이 남은 곳이다. 유허비란 한 인물의 옛 자취를 밝혀 후세에 알리고자 세우는 비석인데, 포은대영모비와 포은대실록비, 반고서원유허비실기 등이 그것이다.
 포은대영모비는 송찬규가 유학자 권필운과 함께 1885년 비문을 짓고 자신이 글씨를 썼다. 또 포은대실록비도 1890년 송찬규가 비문을 짓고 글씨를 썼다.
 때문에 정몽주가 즐겨 찾은 반구대와 작천정이 널리 알려졌다. 그의 또 다른 아호는 정몽주를 추모한다는 뜻의 모은(慕隱)이다.
 송찬규가 남긴 모은대시집(慕隱臺詩集)에는 반구대 아홉 굽이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반계구곡음(磻溪九曲吟)'이 실려 있다. 서시와 일곡에서부터 구곡까지를 읊은 열 편의 시로 이뤄져 있다. 서시는 반계의 물줄기를 찾은 정몽주를 그리워한 내용으로 돼 있다. 나머지는 범서 곡연(曲淵)마을과 언양 태기리 옹태(甕台)마을의 풍광과 반구대 주변의 아름드리 암벽과 계류를 노래한 것이다.
 일곡(一曲)은 <시내가 깊어 곡연(曲淵)을 거슬러 오르는데/남으로 흐르는 물줄기가 와서 북으로 흐르는 시내와 만나네./징검다리는 들쭉날쭉하고 바위는 연기에 싸여 있으니/누가 물이 발원하는 곳에 별천지가 있음을 알리요?>라고 돼 있다. 육곡(六曲)은 <옹태(甕台)를 둘러싼 층진 봉우리인데/하늘에 가득한 바람과 달빛이 물가에 내려오네./한 해 봄의 풍광이 시내와 산 속에 있으니/새들이 즐거워할 때에 꽃은 절로 피어나네.>라고 했다.
 칠곡(七曲)은 <멀리 깊숙한 대곡(大谷)이 바라보이는 곳인데/언덕 동쪽머리의 뽕나무와 삼은 봄빛이 한창이네./아침안개가 걷히면 푸른 산이 우뚝하고/밤비가 내리면 계곡 물이 푸르네.>라고 했다. 마지막 구곡(九曲)은 <옥을 씻은 듯한 물가의 맑은 물결인데/선생의 돈대가 옛날의 반구대에 우뚝하네./비래봉에서 내려온 바위산이 천 길인데/삼현(三賢)의 영모비(永慕碑)가 백세토록 이어지리.>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