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 대부분 원전 유치지역 2~3곳 운영 불구
유독 더 많은 울산만 한 곳 지정 상대적 홀대
그나마 격리실 2명이상 수용못해 이송 불가피


7일 전국에 상당량의 비가 올 것으로 예보되면서 방사성 비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특히 고리원전 등 원자력발전소가 위치한 울산의 경우 방재시스템이나 진료시설에 대한 우려가 높을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울산지역에는 방사선 피폭에 대비한 비상 의료시설이 단 한 곳 지정돼 있으며, 치료 가능한 환자수 역시 적어 시설확충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가센터등 20여곳 운영

6일 울산시와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등에 따르면 방사선 비상 진료기관으로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와 21개의 진료 의료기관을 지정, 운용 중이다.
 2차 비상진료기관은 원전 사고시 피폭 및 복합적 질병 발생 가능성을 고려, 지역 내에 위치하되 원전 반경 10㎞ 밖에 있는 300병상 이상 시설 및 장비를 갖춘 의료기관에 지정토록 돼 있으며, 1차 기관은 원전과 가까운 병원을 지정하게 돼 있다.

 서울에는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등 4곳, 대전 2곳, 경북 2곳, 부산 3곳, 대전 2곳 등 대부분 원전이 있는 지역에 2~3곳의 방사선 비상 진료기관이 운영되고 있다.
 울산 인근에는 9개의 원전이 있지만 지난 2005년 2차 방사선 비상진료기관으로 지정된 울산대학교 단 한 곳만 운영 중이며, 1차 기관은 없다.

 고리원전의 1차 비상진료기관은 부산 기장병원으로, 원자력발전소와의 거리 문제와 의료시설 등의 문제로 이 같이 운영되고 있다고 동남권원자력 의학원 관계자는 설명했다.
 울산대학교병원 비상진료센터에는 방사능을 계측하는 전신계측기 1대, 인체계측기 2대, 외부선량계, 개인선량계 등의 장비, 안정화옥소(요오드)-KI, 프루시안블루(세슘치료제) 등 40명분의 치료약, 20명의 진료 요원 등 재난발생 시 필요한 장비나 약, 대응매뉴얼 등은 비교적 잘 갖춰져 있는 편이다.

 다만 격리실에 수용할 수 있는 인원이 2명이어서 그 이상의 환자가 발생할 경우 원자력의학원의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로 이송돼 진료를 받아야 한다.
 격리실을 유지에는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한정된 예산과 지원으로는 격리실을 확충하는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는 것이 관계자의 말이다.
 울산대학교병원 비상진료센터 관계자는 "매년 2,000만원 내외의 예산이 내려오지만 방사선 비상진료요원의 매년 2차례 있는 합동교육이나 자체교육 등에 사용하고 나면 남는 것이 없다"며 "시설이 확충되고 장비를 더 들이면 좋지만 그동안 발생한 환자가 없는데 추가 비용을 들인다는 것도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지자체는 대응매뉴얼따라 훈련

우리나라 비상진료체계는 크게 3단계로 운영된다. 방사선 영향이 원자력 건물 내에서만 발생하면 백색비상, 원자력 시설 부지로 확대되면 청색비상이 발동한다. 가장 심각한 단계인 적색비상은 방사성 영향이 원자력 시설 부지 밖으로 확대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울산시, 울주군의 비상대응 관련 공무원들은 방사성 재난 발생시 주민들을 10㎞ 밖의 학교로 대피시키는 등 시민들의 대피를 최우선으로 하며 비상 단계에 따라 대응매뉴얼에 맞춰 울산시와 울주군 관계 공무원들은 행동하고, 서로 긴밀한 협조를 하도록 돼 있다. 관련 공무원들은 매년 1회 과학기술부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받고 있다.

 최근 시민들의 우려가 커지자 울주군은 군청 홈페이지에 방사성 노출 관련 시민 대피요령을 배너로 게시하기도 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수시로 교육을 받는 등 비상시에 대비한 대응매뉴얼은 잘 갖춰져 있다고 생각한다. 교육을 받고 매뉴얼을 익히지만 실제로 경험을 해본 적이 없어 훈련으로 대신하는 상황"이라며 "실제와 다르지만 최대한 침착함을 유지하고 시민들의 안전을 챙기려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보람기자 usybr@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