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년퇴직자·장기근속자녀 우선채용 항목 포함
단체협상할때마다 정년연장 카드 올해에도 2년
등록금 인하·실업 해소에 눈가린 집단 이기주의


현대자동차 노조는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에서 그 어느 해 보다 강한 복지제도를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채용세습'에 대한 사회적인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안건을 채택했으며, 그동안 수차례 요구했지만 성사되지 않았던 '정년 연장안'까지 이번 임단협안에 포함시켰다.
 노조는 회사가 사상 최대의 실적은 낸 만큼, 함께 노력한 노동자들에게도 최고의 복지혜택을 줘야 한다는 입장이만 회사측이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게 노동계 안팎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채용세습 요구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 요구안에 정규직 고용세습 논란을 빚었던 정년 퇴직자와 장기근속자의 자녀 우선채용 항목을 결국 포함시켰다.
 요구안 내용을 보면 '회사는 인력수급 계획에 의거, 신규채용시 정년퇴직자 및 25년 이상 장기근속자의 자녀에 대해 채용규정상 적합한 경우 우선 채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단 가점부여 등 세부사항은 별도로 정한다'라고 되어있다.

 이와 관련 '고용세습'이라며 비난여론이 일자 노조는 "조합원 자녀에게 특혜를 주어 무조건 채용하자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조건이면 장기근속자 사기진작 차원에서 가점을 부여하자는 상징적 차원"이라고 해명했다. 특히 "이같은 조항은 기아차와 대우차를 포함해 일부 대기업과 공공기관에서 이미 단협으로 합의해 시행하고 있다"며 "2011년 단협안을 수렴하면서 조합원 요구가 많았고 오늘 현대차를 세계적인 기업으로 만든 장기근속자의 피와 땀에 대한 보답으로 요구할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노동계 안팎에서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거리를 헤매고 있는 청년 실업자들의 아픔을 외면한 채 고용 세습을 정당화시키려는 처사"라는 비난은 거세기만 하다.
 지역 노동계 한 관계자는 "현대차 노조의 주장은 구직자들의 평등권과 기회균등 원칙을 저해하는 무리한 요구안"이라며 "강경한 노조 때문에 고용 유연성이 떨어지고 이는 사회 전반의 취업난 악화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오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주장을 하는 것은 청년 취업자들에 커다란 박탈감을 안겨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회사측도 노조의 요구가 사회적 논란이 된 만큼 '고용세습'에 대한 거부 의사를 밝히고 있어 노사 협사에서 격렬한 공방이 예상된다.
 
#정년 연장

현대자동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에서 기존 58+1(58세까지 일하고 본인 희망 시 1년 추가 근무)인 정년을 '60+1'로 정년 2년을 연장하자는 요구안을 회사측에 제시했다. 이 같은 요구안은 조합원들의 고령화에 따라 몇 년 전부터 줄기차게 제기된 안건이라 할 수 있다.
 앞서 현대차 노사는 지난 2003년 임단협을 통해 그동안 모호하게 돼 있던 정년보장을 '58세까지 보장'으로 규정함으로써 이는 조합원들의 안정한 일자리를 보장한 계기를 만들었다. 이 때부터 회사측은 노조와의 공동결정을 거치지 않고는 사실상 근로자를 해고할 수 없게됐다.

 현재의 '58+1' 정년도 노조의 2년 정년 연장 요구에 따라 지난 2007년 합의된 내용이다.
 노조가 매번 단협 때마다 정년연장을 요구하는 것은 조합원들의 평균연령과 무관하지 않다. 현재 현대차 직원들의 평균 연령은 43.1세로 지난 2003년 임단협시 38세였던 점을 감안하면 급속도로 높아진 수치다.
 현대차 노조 관계자는 "근로자들의 평균 근속연수와 평균수명이 높아지고 활동연령이 증가하는 추세를 감안해 정년연장 요구를 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회사측입장에서 정년 연장은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년 연장에 따른 인건비 등 비용상승을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 청년실업 문제와 연결돼 수용하기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앞서 노사정 위원회에서 조차 이 같은 이유로 정년60세 법제화 합의에 실패 한 바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노조가 임금 피크제를 수용하면 검토할 수 있으나, 정부, 노동계, 경영계 대표주자들 조차 해결하지 못한 사안을 개별기업에서 수용하기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다"고 말했다.  김락현기자 rhkim@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