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세계문화유산가치 확인할 전문가가 없다.

정부, 낙동강물 유입해 사연댐 수위조절 제안 비난 자초
울산시 유로변경안도 전문가 배제 이유 사실상 거부상태
정부-전문가그룹-市  머리 맞대고 가치검증부터 나서야


공전만 거듭하고 있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지난해 본보가 해외취재 등을 통해 제시한 세계문화유산등재 추진이 해법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당시 본보가 제시한 해법은 반구대암각화가 포함된 대곡천 암각화군의 세계사적 가치를 인정하고, 정부와 문화재단체(전문가), 울산시가 함께 참여해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필요한 관리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본보는 긴급진단으로 공전을 거듭하고 있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문제의 해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보 제285호 반구대암각화는 올해도 어김없이 물속에 잠겨 녹조에 신음하고 있다. 암각화 바위면에 붙은 이끼는 물이 빠진 후에도 풍화등급 5.5단계인 반구대암각화의 훼손을 가속화할 것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반구대암각화보존방안'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반구대암각화 보존을 위해 사염댐 수위를 낮추고 대체수원을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한 '울산권 맑은물 대책'을 고시해 놓고도 손을 놓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청도 운문댐 용수를 사용할 수 있는 전제조건인 '대구경북권 물대책'이 경제적 타당성이 없다는 이유로 사실상 무산됐기 때문이다. 국보의 보존과 국민들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물대책을 '경제적' 잣대로 재단해버린 것이다. 특히 '맑은 물 대책'이 무산된 후 정부부처에서 '낙동강원수 유입량을 확대해 사연댐 수위를 낮추면 된다"는 목소리까지 흘리고 있어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

 최근 '사염댐 수위조절안'을 백지화하고 반구대암각화 앞으로 흐르는 물길을 차단하는 방안을 재추진키로 한 울산시의 '서투른 대응'도 문제다.
 울산시는 지난달 △암각화 전면 차수벽 설치 △암각화 전방 생태제방 설치 △터널형 유로변경1(반곡천 합류부 하류에 제방)안 △터널형 유로변경2(반곡천 합류 하류에 제방)등을 제시한 후, 현상변경을 최소화한 터널형 유로변경 1안을 최적안으로 선택해 정부 설득작업을 하고 있다. 시가 최적안으로 제시한 반구대 암각화가 위치한 대곡천 하류(230m 지점)와 상류인 반곡천 합류부(150m 지점)에 높이 15m 제방을 설치하고, 상류에 터널형(원형) 수로를 설치하는 것이다.

 울산시는 이 안이 빠른 시간 내에 암각화의 침수방지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비교적 적은 예산이 드는데다, 암각화 앞의 물길 차단 및 모세관현상(물 흡수)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방안을 결정하면서 문화유산 전문가들이 전혀 참여하지 않았다는 결정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 울산시 스스로 '비전문가들이 수립한 안'으로 평가절하시켜 버린 것이다.

 아무리 좋은 대안이라도 비전문가들이 수립한 안으로는 '형상변경불가'를 주장하는 문화재위원들을 설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울산시의 안은 지난 2002년 서울대석조문화연구소에서 제시한 보존방안을 기초로 하고 있다. 하지만 세계문화유산등재 등 반구대암각화를 둘러싼 제반 환경이 바뀐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점은 짚고 넘어가야할 부분이다. 이 때문에 지금이라도 정부와 문화유산전문가, 울산시가 함께 나서 반구대암각화와 천전리각석이 포함된 대곡천암각화군의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검증하고, 이에 걸맞는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구체적인 행동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울산대 조홍제교수는 "울산시가 재추진키로 한 유로변경안에 대해 많은 전문가들이 상당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하지만 정작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이를 관리하는 방안을 찾는 전문가 그룹의 참여가 배제돼 문화재위원등으로 부터 철저히 외면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정원기자 mikang@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