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동결견'의 증상과 예방, 치료법에 대해 울산제일병원 정형외과 이도영 전문의에게 들어봤다.

50세 중년들이 흔히 앓는다고 해 '오십견'이라고 불리는 동결견. 동결견(frozen shoulder)은 말 그대로 어깨가 얼어 잘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질병이다. 초기에는 근육이 뭉친 것처럼 가벼운 통증에서 시작하지만, 증세가 심해지면 혼자서 옷을 입고 벗고 하는데도 어려울 정도로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끼친다. 특히, 여름철에는 어깨 노출이 잦다 보니 다른 계절보다 더욱 걸리기 쉬운 증상이라고. 가벼운 질병이지만, 결코 가볍게 다뤄서는 안 될 '동결견'의 증상과 예방, 치료법에 대해 울산제일병원 정형외과 이도영 전문의에게 들어봤다.

# 동결견이란
최근 동결견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늘어났다. 여름철이라 노출된 옷차림을 선호할 뿐만 아니라, 에어컨 바람을 자주 쐬다보니, 다른 계절과 같이 업무를 한다하더라도 동결견에 걸리기 쉽다고 이동진 과장은 설명했다.
 '오십견'이라고 잘 알려져 있는 이 병은 어깨의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현상을 보이며, 유착성 관절낭염과 함께 흔히 사용된다.

 동결견에 걸리게 되면, 만성적으로 어깨 관절에 통증이 오고, 운동을 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움직임이 줄어들게 되고, 증상은 더욱 심해져 수술을 해야하는 상태까지 이르게 되는 것이다.
 동결견의 병인을 여러 각도에서 연구하고 있으나 아직도 하나의 정립된 원인을 찾기는 힘들다.

# 팔 운동 어려울 만큼 극심한 통증
동결견은 특히, 밤에 뚜렷한 증상을 나타낸다.
 활동량이 많은 낮 동안은 고통이 잠재돼 있다 잠자리에 들기 전 통증이 오기 시작해 심하면 잠을 이룰 수 없을 정도로 어깨가 아프다.
 흔히, 특별한 외상이 없거나 경미한 외상 후에 견관절 부위에 둔통이 시작되어 서서히 통증이 심해지면서 관절 운동의 제한이 나타난다.

 동결견은 여러 각도의 수동적 운동 시 심한 통증을 호소하지만 회전근 개(어깨 표면의 삼각근 안쪽에 위치하여 안정적으로 어깨를 들고 돌리는 데 관여하는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을 총칭함) 질환은 별도의 운동에서만 통증을 보여 서로 구별할 수 있다. 수동 운동 범위의 감소로 머리 빗질을 하기 힘들다든지 아니면 얼굴을 씻기가 힘들다고 하며, 선반 위의 물건을 집기가 힘들다고 호소한다.

 이 과장은 특히, 50대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흔히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갑상선,  치매, 과거 무리하게 운동을 한 경험이 있다면 합병증을 일으키기도 쉽다. 최근에는 젊은이들에게서도 발견할 수 있는 것을 보아, 동결견은 이제 오십견이라고 칭하기에는 전 연령대가 예방해야 할 질환이 됐다.

 동결견이 초기인 경우에는 '그냥 근육이 뭉친 거겠지'라고 생각하지만, 경과가 상당 기간 지났거나 심하게 구축이 된 경우는 상완 관절와 운동은 전혀 없이 견갑 흉곽 운동만 일어나 '덜컹' 거리면서 움직이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동결견은 경증에 속하는 질환이라 어깨의 통증이 심해진다면 병원의 도움을 받아 물리치료를 꾸준히 해 주면 호전된다. 운동법으로 3개월 간 치료하면 수술 없이 쾌차할 수 있다. 운동으로 부족하면 진통소염제나 극소부위에 국소스테로이드주사를 맞아주면 된다. 그러나, 이를 방치해 둔다면 수술을 해야할 수 도 있다. 과거에는 수술로 인해 상처가 남아 꺼려했으나, 최근에는 내시경으로 수술해 상처도 1.5mm정도 미세하게 남아  수술을 한다 해도 생활에 큰 지장은 없을 것이다. 또, 수술 후 6~8주 내 회복되고 재발될 가능성도 적다.

 동결견을 예방하는 운동법은 간단하다. 평소 스트레칭을 잘 해주기만 하면 된다. 스트레칭 법은 양 팔을 귀 뒤로 붙여 머리 뒤 쪽으로 천천히 당겨주면 된다. 또, 팔을 쭉 펴 팔꿈치를 잡고 반대방면으로 쭉 풀어주는 방법이 있다.

# 발가락 섬유 조직 염증성 질환 족저근막염
여름철 동결견과 함께 젊은 여성층이 노출되기 쉬운 질환은 '족저근막염'이다.
 하이힐은 작은 키를 커버하고 다리를 길게 보이게 하는 등 단점을 가려주고 각선미를 살려주기 때문에 많은 여성이 찾는 패션아이템이다. 하지만 이러한 하이힐은 각종 족부질환부터 허리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눈으로 보이는 증상은, 엄지발가락이 안쪽으로 휘어 다소 비정상적인 발모양으로 변하는 것. 힐을 자주 신는 여성이고, 이러한 증상을 보인다면 족저근막염을 의심해봐야한다.
 족저근막은 종골(calcaneus)이라 불리는 발뒤꿈치뼈에서 시작해 발바닥 앞쪽으로 5개의 가지를 내어 발가락 기저 부위에 붙은 두껍고 강한 섬유띠를 말한다.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며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 발을 들어 올리는 데 도움을 주어 보행 시 발의 역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족저근막이 반복적인 미세 손상을 입어 근막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변성이 유발되고 염증이 발생한 것을 족저근막염이라 한다. 성인의 발뒤꿈치 통증의 대표적 원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해부학적 이상이 원인이 되는 경우보다는 발의 무리한 사용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빈도가 훨씬 높다.
 힐을 자주 신거나, 평소 운동을 하지 않던 사람이 갑자기 많은 양의 운동을 하는 경우 노출된다. 이밖에 과체중, 장시간 서 있기 등 족저근막에 비정상적인 부하가 가해지는 조건에서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다. 당뇨, 관절염 환자에서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

 진료 방법은 평소 생활습관의 개선이 중요하다.
 최근 유행하는 '러닝화'를 신는 것도 하나의 좋은 습관이라 할 수 있다. 각선미를 강조해 줄 하이힐을 포기 하기 어렵다면, 착용 빈도를 줄이는 것도 한 방법이다.
 족저근막염은 보존적인 요법으로 얼마든지 치료가 가능하다. 자연적으로 치유가 되기도 하는데, 보존적인 요법의 경우 소염제를 복용하여 통증을 감소시키고 보조기를 착용하여 발바닥의 충격을 막아주고 체외충격파를 이용해 치료한다.  김은혜기자  ryusori3@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