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희망복지지원단이라고 아세요?"
주민센터를 이용하는 지역민들에게 희망복지지원단에 대해 물으면, 이제는 제법 "알고있다"는 대답을 들을 수 있다.
과거 '자원 연계 서비스'와 비슷한 제도인데, 그 당시 이 서비스에 대해 물으면 모른다는 대답이 태반이었단다. 그만큼 희망복지지원단은 보다 가까이에서 도움의 손길을 내밀고 있었다.
울산지역에서 희망복지지원단이 출범한 지 5개월. 아직도 지역 곳곳에서는 수면 위로 떠오르지 못한 이웃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례사정(intake)에서부터 서비스지원까지 통합적인 사례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희망복지지원단의 하루는 쉴 틈 없이 바쁘게 지나가고 있었다.

   
▲ 북구 희망복지지원단 담당 공무원과 사례관리사가 어르신에게 안부를 물으며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복지사각 저소득층 건강·빈곤탈출 프로젝트
5월 출범 후 북구 지역만 총 115가구 찾아내
따뜻한 인사부터 물질지원까지 통합서비스
상실한 삶의 의지 일깨워 사회로 복귀 추진


#  힘든 환경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들 찾아
19일 오후 2시 북구 효문동의 한 우물집. 머리가 새하얀  90대 어르신은 허리를 한 껏 숙여 작은 텃밭에 쪽마늘을 심고 있었다. 그 모습이 안쓰러워보였던 건 휠대로 휜 허리를 붙들고 밭일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북구청 희망복지지원단 사례관리사와 담당공무원이 "할머니!"하고 불러도 꿋꿋이 마늘을 심는다. 나이가 나이이다 보니 난청이 온 것. 한 달전 내린 강우로 인해 오래된 집이 허물어지면서 허리를 다치게 된 어르신은 한 평 남짓되는 집에서 살아가고 있었다. 딸이 자주 방문해 어르신을 수발하고 있지만, 같이 살고있지 않다보니 언제 위험에 노출될지 모르는 상황이다.
 어르신이 이 집을 떠날 수 없는 이유는 30여년전부터 살아온 고향과 같은 집이기 때문이다. 요양병원에서 편하게 지내라고 권유해도 정이 들어버린 이 집을 떠날 수가 없단다.
 북구청 희망복지지원단은 효문동 주민센터로부터 의뢰를 받고 이 어르신의 전반적인 생활에 도움을 주게 됐다. 주민센터에서 관리하기 힘든 대상은 구청 희망복지지원단이 주로 관리한다.

 사례관리사와 담당공무원이 "밥은 드셨어요?", "오늘은 어디 불편하신 데 없으세요?", "유통기간 지나기 전에 음식 제때 드세요"하며 어르신의 생활을 체크한다. 이날 어르신이 희망복지지원단에게 요구한 것은 오래된 전기선을 교체해달라는 것이었다. 어르신과 함께 긴 세월을 보내 온 전깃줄은 조금이라도 건드리면 누전될 것 같았다. 담당자는 조만간 전기선을 깨끗이 정리해 줄테니 조금만 기다려달라며 어르신을 안심시켰다. 그제서야 어르신의 입가에 미소가 번졌다.
 마침 인근 복지관에서부터 도시락 배달이 왔다. 오늘의 반찬은 각종 야채쌈과 김, 어묵볶음이다. 어르신은 이가 다 빠지고 잇몸도 내려앉아 음식을 씹을 수 없는데 맛있는 반찬이 온들 먹을 수가 없다며 작은 불만을 터뜨렸다. 어르신과 눈을 맞추며 이야기를 들어주는 담당 공무원은 대상자가 말하는 모든 욕구 사항들을 하나하나 체크리스트에 기록해 나갔다.

   
▲ 대상자의 욕구조사가 끝나면 사례회의를 열고 대상자의 통합적인 지원에 대해 논의한다.

# 따뜻한 대화로 아픈마음 달래줄 친구로
대화를 통해 대상자의 심층 욕구조사가 끝나면 본격적인 사례관리에 들어간다. 북구 희망복지지원단 내 사례관리자는 총 5명. 사회복지통합서비스전문요원 3명과 사회복지담당공무원 2명으로 구성돼 있는데, 한 사람당 평균 23명의 대상자를 관리하고 있다. 10일정도 걸리는 사례회의 등의 과정을 빼고나면 하루에 한 가정씩 방문해 욕구조사를 해도 모자라는 셈이다. 사례회의는 일주일에 한 번꼴로 이뤄지고 있다.
 사례회의에서는 대상자에게 지원될 통합적인 서비스에 대해 논의한다. 구청에서 지원할 수 있는 공공자원과 각종 단체에서 제공하는 민간자원을 활용해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희망복지지원단의 핵심적인 역할은 소외된 자를 사회로 이끌어내는 것이다. 물적자원을 제공하며 눈에 보이도록 도움을 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복합적 욕구를 가진 대상자의 삶에 의지를 불어넣어 주는 일이야말로 통합서비스의 핵심이 아닐까. 담당자들은 무조건 서비스 혜택을 받으려는 대상자보다, 어려움을 극복하려 노력하는 대상자들에게 더욱 관심이 가고 도움을 주고 싶다고 전했다.

 하지만, 굳게 닫힌 마음을 풀어내는 일은 여간 쉬운일이 아니었다.
 협착증을 앓고 있어 오래 걷지 못하는 50대 여성은 혼자 살더라도 깨끗한 환경에서 살고 있었다. 그는 겉으로 보기엔 상처가 없어보였다. 하지만 희망복지지원단과 이야기를 나누며 눈물을 글썽이기도 했다. 불우한 환경속에서 꿋꿋이 인생을 살아왔지만, 4년 전 보증을 잘못 서주면서 재산도, 건강도 모두 잃었기 때문이다. 수 년이 지났음에도 마음의 상처를 안고 있는 그는 아직도 사람이 많은 곳은 꺼려진다며 사회로의 복귀를 거부했다. 희망복지지원단이 사회복지관의 다양한 프로그램과 동네 경로잔치, 새마을회 봉사활동 등 여러 활동을 권유해도 소용이 없었다.
 이날 상담에 나선 사례관리사 배옥분 씨는 "이런 분의 이야기를 들어 줄 때 가장 마음 아프고 걱정이 앞선다. 겉으론 밝아보이지만 이런분일 수록 우울증을 앓고 있거나 극단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며 "하지만, 지속적으로 대화를 나눈다면 상처를 풀어낼 수 있을거라 믿는다"고 말했다.
 사례관리사들은 가장 어려우면서도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일이 이 일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음주운전으로 3년을 감옥 신세를 지게된 한 남성의 가정을 개선해 나가는 일은 그 과정은 어려웠지만, 밝은 웃음을 되찾는 모습을 보면 덩달아 기쁘단다. 이 밖에도 수만가지 사례가 있지만, 가장 접근하기 어려울 때는 알코올중독자와 성폭행피해자를 면담할 때라고 희망복지지원단은 말한다.
 희망복지지원단 하춘자 계장은 "아직도 수면위로 떠오르지 못한 복지사각지대의 이웃들이 많다. 특히, 성폭행 피해자를 상담할 때는 혹여나 마음의 상처를 더 입히게 될까봐 더욱 조심스러워진다"며 "희망복지지원단을 운영하면서 느낀 것은 대상자들은 우리 가까이에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는 것인데, 희망복지지원단이 복지사각지대 해소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 주민센터와 끝없는 사후관리도
희망복지지원단의 사례관리는 종결시점이 없다.
 대상자의 사례관리가 어느정도 중간지점에 이르면 사회복지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맡고있는 사람들로부터 슈퍼비전을 받는데, 얼마나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개선했느냐의 평가를 받고 조언을 듣는 것이다. 보통 더욱 심층적으로 사례관리에 들어가거나 지속한다는 판단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 대상자가 개선과정 중 다시 전으로 퇴화한다 싶으면 재사정(상담)에 들어가기 때문에 사례관리에 끝 지점을 정하기는 어렵다.

 북구 희망복지지원단의 목표는 내년까지 다섯 가정의 사례를 종결시키는 것이다. 5월 본격 출범 후 8월 말까지 총 115가구에게 도움을 주고 있는데, 이 중 다섯 사례만이라도 대대적으로 개선됐으면 하는 것이 작은 바람이다. 다섯 케이스에 불과하지만 그만큼, 개선의지를 움직이는 것은 어렵다는 걸 보여준다.
 희망복지지원단에서 종결을 짓는다고 복지사각지대에 대한 지원이 끊어지는 것은 아니다. 종결 후 의뢰를 한 주민센터와 함께 사후관리에도 나서기 때문이다.

 '결국 다 같이 보듬어 주며 사는 세상이다. '
 희망복지지원단과 하루를 함께하며 느낀 것이다.
 복지는 사회 지도층에게 요구되는 도덕적 의무인 노블리스 오블리제 정신이 아니다. 희망복지지원단 뿐만 아니라 사회공헌활동에 나서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도움을 주는 사람은 나눔으로써 기쁨을 얻고, 따뜻한 마음을 받는 사람은 행복을 얻고 있다. 희망복지지원단이 "안녕하세요"하고 복지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이웃들에게 손을 내밀고 있는 이상, 아직 이 사회는 안녕(安寧)하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