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甲은 乙이 운전하는 그의 차량에 치여 의식불명상태가 되었고, 乙이 보험가입한 자동차보험회사 丁의 치료비지급보증으로 치료를 받고 있었는데, 丁회사는 치료비지급보증을 중단하고 甲을 상대로 채무부존재확인소송을 제기했다. 甲의 남편 丙은 丁회사에게 우선 치료비지급보증을 하여 줄 것을 요청하면서, 丁회사가 甲의 치료비에 대한 지급보증을 하는 대신 위 채무부존재확인소송에서 丁회사가 승소할 경우 지급한 치료비 및 치료비지급보증에 따라 발생하는 치료비일체를 甲이 丁회사에게 지체 없이 반환하기로 하는 약정을 하였고, 위 소송에서 丁회사가 승소하였는데, 이 경우 甲이 배우자 丙과 丁회사간의 약정대로 丁회사에게 위와 같은 치료비일체를 지급하여야 하는지요?
 
대리행위의 효력에 관하여 '민법' 제114조 제1항에서 대리인이 그 권한 내에서 본인을 위한 것임을 표시한 의사표시는 직접 본인에게 대하여 효력이 생긴다고 규정하고, 부부간의 가사대리권에 관하여 '민법' 제827조 제1항에서 부부는 일상의 가사에 관하여 서로 대리권이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부부간에는 일상가사에 관해서는 서로간에 대리권이 있다 할 것입니다. 그런데 위 사안과 같이 부부일방이 교통사고로 의식불명상태에 있어 사회통념상 대리관계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는 사정만으로 그 배우자가 당연히 모든 법률행위에 관하여 대리권을 갖는지 문제될 수 있는데, 이에 관련된 판례를 보면, 대리가 적법하게 성립하기 위해서는 대리행위를 한 자, 즉 대리인이 본인을 대리할 권한을 가지고 그 대리권의 범위 내에서 법률행위를 하였음을 요하며, 부부의 경우에도 일상가사가 아닌 법률행위를 배우자를 대리하여 행함에 있어서는 별도로 대리권을 수여하는 수권행위가 필요한 것이지, 부부일방이 의식불명상태에 있어 사회통념상 대리관계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는 사정만으로 그 배우자가 당연히 채무의 부담행위를 포함한 모든 법률행위에 관하여 대리권을 갖는다고 볼 것은 아니라고 하였습니다(대법원 2000. 12. 8. 선고 99다37856 판결). 위 사안에서 배우자 丙이 의식불명상태의 본인 甲으로부터 丁회사의 승소를 조건으로 한 치료비반환약정에 대하여 구체적인 대리권을 수여받았다거나, 특별한 사정으로 丙이 甲의 대리권을 갖고 있다거나 또는 甲이 나중에 丙의 대리행위를 추인하였다는 등의 사실이 없다면 丙의 위 약정은 대리권 없는 무권대리행위가 될 것으로 보이고, 丁회사가 위 채무부존재확인판결의 내용 등에 따른 부당이득반환청구가 가능한 것인지는 별론으로 하고, 단순히 위 약정에 기하여 甲에게 위 치료비일체의 반환을 청구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화문의:052-257-4676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