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시의 추석
                                                                    정소슬

여기서 30년 살았으니
이제 여기가 고향이제!
하던 김씨도
고향 찾아 떠났다

집 팔고 논 팔고
광 속의 종자 씨 까지 모조리 훑어왔다던
이 씨도
홀린 듯 훌훌 나섰다

다 떠나버려
졸지에 유령의 城이 된 도시

그간
욕심이 너무 컸던 거야!
너무 메마르게 대했어!
사치심과 이기심만 가르친 꼴이지…

회한이 번지는
회색 지붕 위엔
달마저
어느 놈이 챙겨 가버리고 없다.

● 정소슬 시인 - 1957년 울산 출생. 2004 시 전문계간지 '주변인과 詩'로 작품활동 시작. 시집 '네 속에 너를 가두고'(2006), '사타구니가 가렵다'(2014) 등 출간. 한국작가회의 회원.


 

투자하라는 꾐에 넘어가 집 팔고 논 팔고 광속의 종자씨까지 탈탈 털어 신기루 같은 부푼 꿈을 안고 대처로 나왔다.


30여 년 만에 반들반들하고 영악한 치들에게 걸려 줄 사기를 당하고 하는 일마다 다 말아먹었다. 그래도 수구초심이라고 믿고 기어 들 곳이라곤 탯줄을 묻어 둔 안태 고향뿐이라는 주변인들의 비통한 인식.

 이건 분명 괭이자루 호미자루 내던지고 도시로 도시로 공장을 찾아 휴거하듯 떠나온, 농경을 거쳐 산업 사회를 살아온 꼴통마초로 통칭되는 기성세대들의 자화상이다.

 경기가 곤두박질치면서 정리해고니 구조조정이니, 먼 나라일이 아닌, 발등의 불같은 현실로 닥치면서 무풍지대나 다름없었던 소문난 잔치의 울산공단도 전전긍긍하는 처지에 처하면서  시인의 시가 요즘 절박하게 와 닿는 것이다.

열심히 일한 죄밖에 없다고 가슴을 쥐어뜯으며 흙바닥을 마구 뒹굴고픈 통곡 같은 밑바닥 인생들의 대곡이 아니겠는가.

 시인은 분명 이 시를 쓰며 속으로 울고 있었을 것이다. 흔해 빠진 프로파간다와는 차별화되는 시의 주체로서의 미학적 전복, 외피는 거칠지만 그 각질을 한 겹만 벗기고 보면 상처투성이인 따스한 속살이 만져 질 것이다.

 그런 공통분모의 속울음도 없이 이런 통절할 시가 피 터지듯 분출할 수는 없는 것. 그런 처지에 처해 보지 않은 자라면 꾸며서내는 거짓 울음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산전박토를 일구어 먹고 살던 순박한 인심들이 나남 없이 각박한 도시 생활을 흉내 내는 가운데 탐욕으로 가득 찬 이기와 사치만 남았다는 회한어린 자탄, 행간 속 시인의 헛웃음 속에 담겨 있다. 

 부도나서 텅텅 비어버린 미분양의 신도시, 인간들의 무한탐욕의 마천루의 꿈. 회한이 번지는 회색 지붕위엔 달마저 어느 놈이 챙겨 가버리고 없다는 씁쓸한, 추석을 앞두고 쓰디쓴 담배 한 모금 빨며 처참한 심정으로 귀향을 고민하는 민초들의 피 맺히고 한 맺힌 노래다.  류윤모 시인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